개사탕수수속2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2005년 양재천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지금도 여전히 그 주위에만 몇 개체 살고 있다. 이곳 저곳 알아봐도 정체를 아는 이가 없다. 식물의 모습이 동남아에서 본 듯한데 여행자에게 종자가 묻어서 귀화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 나뭇잎 님의 도움으로 2011년 큰개사탕수수라는 국명을 얻은 귀화종임을 확인한다. 남해안에 자생하는 개사탕수수와 같은 속으로 인도 아샘 등 남부아시아 원산, 영명은 hardy sugar cane이다. 검색해보니 양재천 외에도 전국적으로 군데군데 자리잡고 사는 모양이다. 2014. 11. 양재천 ●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 hardy sugar cane ↘ 사초목 벼과 개사탕수수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단단하고, 높.. 2014. 11. 23.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인도 아샘 등 남부아시아 원산. 2011년 큰개사탕수수라는 국명을 얻은 벼과 개새탕수수속의 귀화종이다. 2004년 전남 화순온천 주변에서 확인된 이후 세력을 점점 넓혀가고 있고 서울 강남구 천변에서도 발견되는 귀화식물이다. 남해안에 자생하는 개사탕수수(S. spontaneum)에 비해 식물체가 대형이고 제1 포영에 바깥쪽에 털이 많으며 작은 이삭 아래쪽의 털은 작은 이삭과 길이가 같거나 짧은 특징으로 구분된다. 2012. 10. 25. 서울 양재천 ● 큰개사탕수수 Saccharum arundinaceum | hardy sugar cane ↘ 사초목 벼과 개사탕수수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단단하고, 높이 1-2m, 지름 1-2cm이며, 매끈하다. 잎집은 털이 없거나 가장자리에 .. 2012. 12.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