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8 8

우단동자꽃 Silene coronaria(Lychnis coronaria)

잎과 줄기 등 전체에 흰 솜털이 빽빽하게 나 있는 질감이 우단 같고 꽃은 동자꽃을 닮아서 '우단동자(羽緞童子)'라는 이름이 유래한 듯하다. 유럽 남부와 서아시아 원산의 석죽과 여러해살이풀로 동자꽃속(Lychnis)에서 장구채속(Silene)으로 수정되었다. 종명 coronaria는 '화환으로 쓰는'의 의미를 가진 라틴어이다. 플란넬초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취선옹(醉仙翁)' 또는 '수선옹(水仙翁)'이라고 한다.    2024. 05. 02.  서울   2024. 05. 22.  2024. 05. 31.     ● 우단동자 Lychnis coronaria  | rose campion, mullein pink, dusty miller  ↘  목련강 석죽목 석죽과 동자꽃속 여러해살이풀높이 30∼70cm이다...

원예 조경종 2024.05.28

분홍콩먼지 Lycogala epidendrum

자실체는 분홍빛이 도는 작은 팥알 만한 크기로 쓰러진 지 오래되어 썩어가는 축축한 나무 줄기나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자란다. 저리 빛깔이 고운 미성숙한 개체 속은 분홍색의 풀 같은 액체로 채워져 있다. 성숙함에 따라 표면은 회색-흑색으로 변하고 액체는 미세한 회색 포자의 분말 덩어리가 된다. 서양인들은 이 점균에 '늑대의 우유(wolf's milk)'라는 이름을 붙여 놓았다. 여름부터 가을까지(6월~11월) 축축한 썩은 나무, 특히 큰 통나무에 흩어지거나 무리를 지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05. 22.  서울   2024. 05. 31.    ● 분홍콩먼지 Lycogala epidendrum | wolf's milk, groening's slime  ↘  콩먼지목 그물먼..

버섯, 균류 2024.05.28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시원스럽게 넓은 잎이 마주난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흰 꽃이 핀 모습이 아름답다. 검붉은 꽃이 피는 백미꽃에 비해서 꽃은 흰색이며 꽃자루는 길이 1.5~2cm로 길고 꽃부리는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또 꽃이 연한 노랑 또는 자주색이고 꽃자루가 짧은 선백미꽃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 풀밭이나 숲 가장자리에 자생한다.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등에 분포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  목련강 국화아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백미꽃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60cm,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전체에 가는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타원형 또는 난형, 길이 8~15cm, 폭 4~8cm, 가장..

우리 풀꽃 2024.05.28

은대난초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능선부를 내려와 골짜기로 내려서는 비탈에 은대난초 꽃들이 무리를 지어 피었다. 잎과 포 위로 꽃차례가 드러나는 은난초와 달리 은대난초 꽃차례는 포엽에 감싸여 있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잎이 비교적 둥근 은난초에 비해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한 점으로도 구별된다.  '댓잎은난초'라고도 한다, 비교적 낮은 산지 숲속이나 숲 가장자리에 나는 여러해살이 자생 난초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지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은대난초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  백합강 난초목 난초과 은대난초속 여러해살이풀 수염뿌리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50cm, 위쪽에 털이 난다. 잎은 3~8장이 어긋나..

우리 풀꽃 2024.05.28

털개회나무(정향나무) Syringa patula(Syringa pubescens subsp. patula)

산 정상부 바위지대로 들어서자 꽃향기부터 아름답게 다가오는 아름다운 수수꽃다리속 꽃나무,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이다.털개회나무에 비해 잔가지와 꽃차례에 털이 있고 잎은 아원형으로 주맥이 들어가는 점으로 오랫동안 구별되어 불려왔던 정향나무(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는 논란 끝에 털개회나무로 통합되며 이명 처리되었다. '미스킴라일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종이다. 이 영명은 주한미군으로 있던 엘윈 M. 메이더라는 군인이 북한산에서 발견하여 도우미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으로 기록되었고, 미국과 유럽 전역에 상업적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털개회나무 Syringa pubescens su..

우리 나무 2024.05.28

노린재나무 Symplocos sawafutagi (S. chinensis f. pilosa)

저지대에서는 이미 열매가 달리는 시기인데 800m를 넘는 능선지대에서 흰눈이 소복이 내려 덮인 듯한 모습으로 흰 꽃이 만발하였다. 단풍 든 잎을 태우면 노란색 재를 남긴다 하여 '노린재나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는 설이 있다.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의 관목으로 하나의 줄기가 올라와 많은 가지를 내어 우산 모양의 수형을 만든다. 가을에 푸르게 익는 열매 또한 '사파이어베리(Sapphireberry)'라는 영명으로 불릴 정도로 보석처럼 아름답다. 한반도 각처 산지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중남부에 분포한다.    2024. 05. 12.  남양주 축령산      ● 노린재나무 Symplocos sawafutagi | Sweet leaf, Sapphireberry  ↘  목련강 감나무목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

우리 나무 2024.05.28

아구장나무(아구장조팝나무) Spiraea pubescens

축령산 정상부 능선 바위지대에 구름같은 아구장나무 흰 꽃이 피었다. 잎과 꽃이 당조팝나무(S. chinensis)와 유사하다. 잎이 두껍고 털이 밀생하는 당조팝나무는 꽃자루에 털이 많은 데 비해 아구장나무는 꽃자루에 털이 없다. 당조팝나무의 잎자루가 4~12mm로 비교적 긴 데 비하여 3mm가 되지 않을 정도로 아주 짧은 점으로도 구별된다. 깊은 산의 건조한 바위틈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2009년 한라산에서도 발견되었다. 러시아 극동, 몽골,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아구장나무 Spiraea pubescens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조팝나무속 관목높이 1.5~2m이다. 묵은가지는 회갈색이며, 어린..

우리 나무 2024.05.28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축령산 정상으로 오르는 바위 능선지대에서 오랜만에 산앵도나무 앙증스런 꽃을 만나니 설레는 느낌조차 든다. 종 모양의 흰 꽃에 붉은 무늬는 거의 없어 수수한 모습이다. 꽃이 진 자리에 달리는 열매 머리에는 왕관처럼 꽃받침 흔적이 그대로 붙어 있다.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속으로 높이 1m 정도의 작은 관목으로 가지가 많이 나 옆으로 퍼지며 꽃은 흰색-붉은색의 종 모양으로 총상꽃차례에 2~3개 밑으로 처져 달린다. 열매는 타원형의 장과로 붉게 익으며 식용한다. 제주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 자생하는 고유종이다. 해발고도 700~1,000m 이상의 고산 지대 시원하고 반 그늘진 숲속이나 바위 옆에 주로 서식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산앵도나무 Vaccinium hirtum v..

우리 나무 2024.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