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4 5

재인폭포,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경기 둘레길 12구간 트레킹을 마친 후 재인폭포를 찾았다. 주차장에서 한탄강을 내려다보며 걷는 공원은 햇살 따가운 날씨지만 바람에 넘실거리는 5월의 푸르름으로 상쾌하기만 하다. 1km 넘는 길, 전기차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걷기로 한다.  천연기념물 어름치와 멸종위기종인 분홍장구채 등의 서식지로도 알려져 있는 재인폭포, 연천읍 동쪽 부곡리 한탄강 지류 계곡 합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지장봉(876m)에서 흘러 내린 작은 계곡에서 약 18m 높이의 현무암 주상절리 절벽으로 쏟아지는 폭포수와 수심 5m의 포트홀이 장관을 이룬다. 재인폭포를 포함한 연천과 포천의 한탄강 유역 화산활동 지역들은 2015년 12월 31일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고, 철원 지역과 함께 2020년 7월 10일 국내 4번째 유네스코 ..

그물코버섯 Porodisculus pendulus

임도를 따라 걷다 임도 바닥에 깨알처럼 작은 회백색의 자실체가 달린 작은 수피 조각이 눈에 띄어 그물코버섯임을 직감한다. 아주 작은 자실체가 비스듬히 매달려 있는 모습이 사람 코와 비슷한데 육안으로 겨우 관찰되는 미세한 점 같은 관공들이 촘촘한 것이 그물코버섯이 맞다. 갓 지름은 3㎜쯤이고 높이도 5㎜를 겨우 넘을 정도... 갓 표면은 다갈색에서 회백색으로 변하며 가루처럼 생긴 털이 표면을 덮고 있으며, 아랫면 관공은 1㎜ 사이에 5~6개가 있다.  연중 활엽수 죽은 가지, 표고 원목 등에 무리지어 난다. 한국, 일본, 북미, 호주, 뉴질랜드에 분포한다.    2024. 05. 18.  서울      ● 그물코버섯 Porodisculus pendulus | Pendulous-disc polypore  ↘..

버섯, 균류 2024.05.24

산뽕나무 Morus bombycis

5월 하순에 접어드니 산뽕나무 열매(오디)도 붉은빛으로 익기 시작한다. 아직 신맛이 나는 설익은 열매인데 재배하는 뽕나무에 비해서는 크기가 1/3 이하로 아주 작다. 산뽕나무는 재배하는 뽕나무에 비해 암술대가 씨방보다 길고 열매가 익은 후에도 길게 남아 있으며, 잎 가장자리의 톱니가 보다 예리하다. 또한 잎에 대개 털이 없는 점에서 털이 많으며 앞면이 거친 돌뽕나무와 구별된다.  산지 숲속 계곡 주변의 돌이 많은 곳에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산뽕나무 Morus bombycis | Korean mulberry, mountain mulberry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쐐기풀목 뽕나무과 뽕나무속 소교목높이..

우리 나무 2024.05.24

금낭화 Dicentra spectabilis(Lamprocapnos spectabilis)

임도를 따라 곳곳에 씨방을 달고 있거나 일부 꽃이 피어 있는 금낭화가 보인다. 일부러 심은 것이 아닌 자생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명지산 돌 많은 깊은 골짜기에 자생하는 금낭화를 본 이후에 경기 북부 산지에 흔하게 보였던 것으로 금낭화가 한반도에 산지에 자생했다는 것이 확실시된다. 금낭화는 현호색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이 총상꽃차례에 연한 홍색으로 주렁주렁 피고 양쪽으로 납작한 난상 원형인 점으로 현호색속과 뚜렷이 구별된다. 원 이름은 '금영화'로 불렸으며, 아름다운 복주머니 모양의 꽃으로 '며느리주머니', 잎 모양이 모란을 닮아 '등모란'으로 불리기도 한다. 깊은 산지 햇빛이 드는 습한 돌무더기 땅에 자샐하며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심고 전초는 약용한다. 우리나라와 중국 동북 지방에 분포한다. 중국에서 ..

우리 풀꽃 2024.05.24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물참대와 아주 유사한 수국과 말발도리속의 관목이다. 말발도리의 잎이 별 모양의 털이 있어 다소 껄끄러운 질감이라면 물참대의 잎은 털이 없어 매끈한 편이다. 말발도리의 암술대가 긴 네모 모양이고 밑선반이 갈색빛을 띠는 데 비해 물참대의 암술대는 긴 세모 모양이고 밑선반이 녹색빛을 띤다.  계곡이나 산기슭의 바위틈에 자라는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 몽골, 러시아 근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 Mongolian pride-of-Rochester  ↘  목련강 장미목 수국과 말발도리속 관목높이 2∼3m가량이다. 새 가지는 연한 갈색, 중앙에 별처럼 생긴 털이 달린다. 작년 가지..

우리 나무 2024.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