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3 6

산골무꽃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임도변 풀밭을 따라 무리를 지어 청보랏빛 꽃을 피운 산골무꽃이 종종 보인다.  산골무꽃은 Scutellaria pekinensis Maxim.의 4변종 중의 하나로 식물체 전체에 털이 많은 점에서 전체적으로 털이 많지 않거나 거의 없는 호골무꽃(var. ussuriensis)과 구분되며 수골무꽃(var. alpina)은 가지를 친다. 왕골무꽃(var. maxima)은 꽃이 크고 꽃부리 기부의 각도가 45~60인 점이 산골무꽃과 다르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산골무꽃 Scutellaria pekinensis var. transitra  ↘  목련강 꿀풀목 꿀풀과 골무꽃속 여러해살이풀땅속줄기는 가늘고 길며 흰색이다. 줄기는 높이 25cm쯤으로 겉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

우리 풀꽃 2024.05.23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비교적 늦은 시기인데도 임도 주변에는 졸방제비꽃이 흔하게 보인다. 흰 꽃도 있지만 자부색 꽃들이 더 흔해서 시각적으로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여러 대가 밑에서 올라오는데 지상부의 줄기가 곧추서는 점에서 줄기가 비스듬히 눕는 낚시제비꽃과 구별된다. 꽃잎 안쪽을 제외한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졸방제비꽃 (for.glaberrima)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 저지대와 산간 지역의 낙엽성 숲 가장자리 초지의 약간 축축하며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 Long-stem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우리 풀꽃 2024.05.23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임도를 따라서 좀씀바귀가 아주 흔하게 바라고 있다. 줄기와 잎 등이 아주 작은 씀바귀 종이므로 좀씀바귀라 한다. 벋음씀바귀(I. debilis)에 비해서 잎은 작고 난형 또는 타원형의 둥근 모양인 점으로 구분된다. 다른 씀바귀처럼 잎과 줄기를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고 잎이 무더기로 나온다.  산 능선을 따라서 또는 길가나 숲 가장자리에 조밀하게 생육하며 주로 메마르고 척박한 토양에서 자라며 번식 속도가 빠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좀씀바귀 Ixeris stolonifera | creeping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벌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연약하고 가지가 갈라지면서..

우리 풀꽃 2024.05.23

선씀바귀 Ixeris strigosa(Ixeris chinensis subsp. strigosa)

선씀바귀는 벌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이 모두 혀꽃으로 꽃차례당 20개 이상의 많은 혀꽃을 갖는 점에서 5~12개 정도의 혀꽃을 갖는 씀바귀와 구별되며, 흰색 또는 자주색을 띠는 흰색인 점에서 노란색인 노랑선씀바귀와 구별된다. 노랑꽃이 피는 노랑선씀바귀(Ixeris chinensis)는 기본종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흰선씀바귀', '자주씀바귀'라고도 하며 중부 이남 산기슭 풀밭이나 길가 등에서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선씀바귀 Ixeris strigosa | Short bristle-like haired ixeris  ↘  국화목 국화과 선씀바귀속 여러해살이풀높이 20-50cm..

우리 풀꽃 2024.05.23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바야흐로 할미밀망의 계절, 고대산 임도를 따라 할미밀말 흰 꽃들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꽃이 줄기와 잎 사이에서 나오고 꽃차례당 3개씩 흰색으로 넓게 퍼져 피는 점에서 5개 이상의 꽃이 붙는 사위질빵과 구별된다.  '셋꽃으아리', '큰잎질빵', '큰질빵풀'이라 불리기도 한다.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의 덩굴나무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이다. 숲가장자리에서 자란다.     2024. 05. 12.  연천 고대산       ●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덩굴나무줄기 길이 5m, 지름 3cm 이상 자라며 줄기에 세로 능선이 있고 일년생가지에 잔털이 있다.잎은 마주나기하고 깃모양겹잎이며 3-5..

우리 나무 2024.05.23

길뚝사초 Carex bostrychostigma

임도를 따라 차 바퀴가 밀어올린 흙이 둔덕을 이룬 곳에는 길뚝사초가 줄을 지어 자라고 있다. 길뚝사초는 개화기에는 줄기가 곧추서나 점차로 줄기와 이삭 부분이 지면을 향해 길게 늘어진다. 다른 사초과 풀에 비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잎이 질긴 편이다. 그래서 임도나 등산로의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해낸다. 종소명 bostrychostigma은 암술머리(stigma)가 나선형(bostryx)으로 배열되는 모양을 나타낸 이름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지역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길뚝사초 Carex bostrychostigma | Curled-stigma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