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정보 자료

개불알풀속 = 꼬리풀속(Veronica) 자생종, 검색표

by 모산재 2020. 2. 22.

 

● 개불알풀속(Veronica) 자생종, 귀화종

 

개불알풀 Veronica didyma var. lilacina (H. Hara) T.Yamaz.

두메투구꽃 Veronica stelleri var. longistyla Kitag.

흰분홍두메투구꽃 Veronica stelleri var. longistyla f. rufescens Y.N.Lee

data-ke-size="size16">방패꽃 Veronica tenella All.

물칭개나물 Veronica undulata Wall.

큰물칭개나물 Veronica anagallis-aquatica L.

문모초 Veronica peregrina L.

 

꼬리풀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흰꼬리풀(비합법명) Veronica linariifolia f. alba T.B.Lee

큰꼬리풀 Veronica linariifolia var. dilatata (Nakai & Kitag.) Nakai & Kitag.

털꼬리풀(비합법명} Veronica linariifolia var. villosula (Nakai) T.B.Lee

긴산꼬리풀 Veronica longifolia L.

넓은산꼬리풀 Veronica ovata Nakai 

둥근산꼬리풀 Veronica rotunda Nakai

산꼬리풀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지리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coreana (Nakai) T.Yamaz.

넓은잎꼬리풀 Veronica kiusiana Furumi   

봉래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diamantiaca (Nakai) T.Yamaz.

큰산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glabrifolia (Kitag.) Kitag.

털넓은잎꼬리풀 Veronica kiusiana var. villosa Yamaz.

버들잎꼬리풀 Veronica tubiflora Fisch. & C.A.Mey.

섬꼬리풀 Veronica nakaianum Ohwi

구와꼬리풀 Veronica dahurica Steven

큰구와꼬리풀 Veronica pyrethrina Nakai

부산꼬리풀 Veronica pusanensis (Y.N.Lee) Y.N.Lee

 

<귀화종>

큰개불알풀 Veronica persica Poir.

선개불알풀 Veronica arvensis L.   

눈개불알풀 Veronica hederifolia L.

좀개불알풀 Veronica serpyllifolia L. 

미국물칭개 Veronica americana Schwein.

 

 

 

Veronica속은 이상태 검색집에는 꼬리풀속,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개불알풀속

(꼬리풀속을 Pseudolysimachion라는 속명으로 Veronica속과 분리하기도 함)

 

※ 꼬리풀속(Veronica) 검색표 : 한국식물 검색집

 

1. 줄기는 직립 또는 경생. 잎은 호생 또는 대생, 원형-삼각상난형. 열매는 요두(凹頭)

2. 줄기는 직립. 잎은 대생. 花柄이 꽃받침보다 짧다. ------------------------ 1. 선개불알풀

2. 줄기는 경생. 잎은 호생. 화병이 꽃받침보다 길다.

3. 花柄은 1-4cm, 잎은 장폭보다 길다. 열매는 납작한 도심장형 ---------- 2. 큰개불알풀

3. 화병은 1cm, 잎은 장폭보다 짧다. 열매는 신장형(통통하다) ----------- 3. 개불알풀

1. 줄기는 직립. 잎은 대생-윤생, 난형-피침형. 열매는 원두(圓頭)

4. 잎은 대생이다.

5. 꽃잎은 3장이다. 잎은 전연이다. ---------------------------------- 4. 방패꽃

5. 꽃잎은 4장이다. 잎은 거치연이다.

6. 꽃은 액생 -------------------------------------------------- 5. 문모초

6. 꽃은 총상 또는 수상화서

7. 잎은 결각이 지거나 깊은 중거치연(重鋸齒緣)

8. 잎의 缺刻은 中-深裂. 전체에 백색털 密生. 꽃은 벽자색 ------------- 6. 큰구와꼬리풀

8. 잎의 결각은 淺裂.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밀생 또는 疏生. 꽃은 (연한) 하늘색

9. 잎은 3.5-5cm, 엽병은 1-3cm. 꽃은 연한 하늘색, 화서에 꽃은 다수 소생(총상)(울릉도) ---- 7. 섬꼬리풀

9. 잎은 1.8-2.5cm, 엽병은 13mm정도. 꽃은 하늘색, 화서에 꽃은 다수 밀생 (꼬리모양) ------- 8. 구와꼬리풀

7. 잎은 결각이 지지 않거나 얕은 중거치연(重鋸齒緣)

10. 식물은 다소 肉質性. 總狀花序는 완전히 액생한다. 葉柄은 없고, 심장저-원저이다.

11. 키는 30-50cm, 잎은 4-7cm ------------------------------------ 9. 물칭개나물

11. 키는 40-80cm, 잎은 4-10cm -------------------------------- 10. 큰물칭개나물

10. 식물은 비육질성. 총상화서는 정생 또는 주로 끝 쪽에 가지를 치며 배열한다.

엽병은 있거나, 없을 경우 예저이다.

12. 아래의 잎은 엽병이 길고 분명하다.

13. 잎 뒷면은 대백색이 아니다. 키 50cm이상.

14. 花柄이 꽃받침보다 매우 길다. 꽃은 하늘색 ------------------- 11. 넓은잎꼬리풀

14. 화병이 꽃받침과 비슷하다. 꽃은 보라색 (제주도) ------------- 12. 넓은산꼬리풀

13 잎 뒷면은 대백색이고 다소 붉은 색이 돈다. 키 20-25cm ------------ 13. 봉래꼬리풀

12. 아래의 잎은 엽병이 짧거나 거의 없다.

15. 잎은 도피침형-장도란형(제주도, 남해안) ------------------------- 14. 털꼬리풀

15. 잎은 피침형-광난형.

16. 꽃은 3-5개, 백색 바탕에 자주색 맥. 잎은 난형-광난형 ----------- 15. 두메투구꽃

16. 꽃은 여러개, 하늘색-연한 보라색. 잎은 피침형-장타원형.

17. 줄기에 無毛 (화서 부분 제외) ----------------------------- 16. 큰산꼬리풀

17. 줄기에 有毛.

18. 꽃은 청자색 또는 벽자색이다. 줄기에 굽은 털이 있다.

19. 잎 밑부분에 톱니가 없다. 꽃은 청자색 ----------------- 17. 꼬리풀

19. 잎 가장자리 전체에 톱니, 꽃 벽자색 ------------------- 18. 산꼬리풀

18. 꽃은 백색이다. 줄기에 털이 없거나 짧은 털이 散生 --------- 19. 긴산꼬리풀

4. 잎은 윤생이다. => Veronicastrum(냉초속)

 

 

3. 개불알풀 V. polita var. lilacina (Hara) Yamazaki 전라도 및 경상도의 길가 풀밭

4. 방패꽃 V. tenella All.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의 다소 습한 곳

5. 문모초 V. peregrina L. 중부 이남의 논밭 근처와 냇가

6. 큰구와꼬리풀 V. pyrethrina Nakai 경북 대구 교외의 숲가장자리

7. 섬꼬리풀 V. nakaiana Ohwi 울릉도의 도동 및 근처 풀밭

8. 구와꼬리풀 V. dahurica Stev. 대구, 경주 및 북부지방의 풀밭

11. 넓은잎꼬리풀 V. kiusiana Furumi 남산 및 무등산

12. 넓은산꼬리풀 V. ovata Nakai 제주도 한라산

13. 봉래꼬리풀 V. kiusiana var. diamantica (Nak.) Yamazaki 금강산 비로봉의 숲속

14. 털꼬리풀 V. linariaefolia var. villosula (Nak.) T. Lee 제주도 또는 남쪽 바닷가 근처

15. 두메투구꽃 V. stelleri var. longistyla Kitagawa 평안도에서부터 백두산 분화구 안쪽

16. 큰산꼬리풀 V. rotunda var. coreana Yamazaki 지리산 이북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 개불알풀속(veronica)과 꼬리풀속(Pseudolysimachion)으로 분리

 

1. 화판이 넓은 깔대기모양으로 꽃잎의 절반 정도까지 갈라진다. 화통은 화판 길이의 1/2 - 1/3

2. 잎은 원저,설저,둔저,평저 또는 약한 심장저. 잎자루가 확실하다. 길이 0.5-3cm.

3. 잎은 막질. 삼각상난형. 화관은 길이 3-3.5mm. 화판은 원형 ................. Pseudolysimachion ovatum(넓은산꼬리풀)

3. 잎은 지질, 삼각상난형, 난형 또는 삼각상 피침형. 화관은 길이 5mm. 화판은 둔두 또는 둔두 비슷 => Pseudolysimachion kiusianum

a. 잎뒷면에 털이 없거나 면모가 밀생한다. 화경과 잎자루에 오그라든 긴털이 있다. 털은 4-7실 .......... 2a. subsp kiusianum

b. 식물체 크기는 1-1.2m. 줄기는 털이 전혀 없거나 약간있다. 잎은 길이 10-20cm. 양면에 털이 없다. ... 2ab. var glabrifolium(큰산꼬리풀)

b. 식물체 크기는 20-70cm. 줄기는 털이 있다. 잎은 길이 3-8cm. 양면에 털이 있거나 윗면에는 털이 없고 아랫면 맥에만 털이 약간 있다.

c. 식물체는 50-70cm. 잎은 5-8cm. 잎가장자리에 거의 규칙적인 거치가 있다.

    꽃받침열편은 난형에서 피침형, 첨두 또는 급첨두. 화판은 난형에서 난상타원형, 둔두 .......... 2aa var. kuisianum(넓은잎산꼬리풀)

c. 식물체는 20-30cm. 잎은 3-5cm. 가장자리는가장자리는 불규칙한 이중톱니.

    꽃받침열편은 선상피침형, 단두, 화판은 장타원형에서 난형, 끝은 날카롭거나 약간 날카롭다. ... 2ac var diamantiacum(봉래꼬리풀)

a. 잎뒷면에 융모가 있다. 화경과 잎자루에 퍼진 짧은 털이 있다. 털은 2-4실 ........ 2b. subsp miyabei(털넓은잎꼬리풀)

2. 잎기부는 서서히 좁아지는 유저. 잎자루가 불분명하거나 없다. =>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a. 줄기는 일반적으로 분지하지 않는다. 잎은 도란형, 2-3cm. 윗면에 융모가 있다..... 3c. var vollosulum(털꼬리풀)

a. 줄기는 분지한다. 잎은 선상피침형, 넓은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도란상타원형 길이 4-8cm. 표면에 털이 없다.

b. 잎은 선셩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 3a. var linearfolium(꼬리풀)

b.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 3b. var dilatatum(큰꼬리풀)

1. 화판이 바퀴살형태의 종모양으로 깊이까지 갈라진다. 화통은 화판길의 1/4

4.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거나 우상결각. 또는 톱니가 깊다. 잎자루는 분명해서 0.5-3cm.

5. 잎은 깊게 갈라지거나 우상결각, 화관은 흰색 또는 분홍색............... Pseudolysimachion dahuricum(구와꼬리풀)

5. 잎 가장자리는 큰톱니가 있다. 꽃은 청보라색 또는 옅은 보라에서 청색

6. 잎과 줄기는 백색밀모. 화관은 청보라색............................. Pseudolysimachion pyrethrina(가새잎꼬리풀)

6. 잎과 줄기는 짧은 유모가 약간있다. 화관은 연보라에서 청색.......... Pseudolysimachion insulare(섬꼬리풀)

4. 잎가장자리는 거치가 있거나 이중거치. 또는 톱니가 있거나 이중톱니. 잎자루는 불분명하거나 없다.

7. 줄기는 일반적으로 꼬부라진 털이있는 백색. 화통은 화판의 1/3정도 길이 => Pseudolysimachion rotundum

a. 잎은 좁은 타원형에서 피침형, 폭이이 1.5-3cm...... var. subintegrum(산꼬리풀)

b. 잎은 난형, 폭이 3-6cm..................................... var. coreanum(지리산꼬리풀)

7. 줄기는 털이 없거나 위부분에 아주 부분적으로 융모가 약간있다. 화통은 화판길이의 1/3보다 길다....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긴산꼬리풀)

 

 

 

넓은잎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kuisianum : 7,8월 중남부지방, 드물다.

큰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glabrifolium 7,8월 중북부지방

봉래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7,8월 강원도(금강산)

털넓은잎꼬리풀 Pseudolysimachion kiusianum subsp. miyabei 7,8월 중남부. 드물다.

 

꼬리풀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var linearfolium 7,8월 전국

큰꼬리풀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var dilatatum 7,8월 남부지방

털꼬리풀 Pseudolysimachion linariifolium var vollosulum 7,8월 경남,전남,제주

구와꼬리풀 Pseudolysimachion dahuricum 8,9월 중북부지방

가새잎꼬리풀 Pseudolysimachion pyrethrina 8월 경북(대구)

섬꼬리풀 Pseudolysimachion insulare 5,6월 울릉도

 

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subintegrum 7,8월 중북부

지리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rotundum var. coreanum 7,8월 지리산

긴산꼬리풀 Pseudolysimachion longifolium 7,8월 북부지방 높은 산.

 

꽃잎이 절반 정도만 갈라짐 : 넓은잎산꼬리풀,큰산꼬리,꼬리풀

꽃잎이 기부까지 깊게 갈라짐 : 산꼬리풀, 긴산꼬리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