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지리바꽃(Aconitum chiisanense)

모산재 2009. 11. 6. 23:49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인 지리바꽃. 초오속 식물들을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듯이, 지리산에서만나는 초오속은 모두 지리바인 것은 아닐 터이다. 잎이 가늘고 깊게 패이는 것이 특징적이지만 능선에서 만나는 것들은 그러한 잎의 특징이 뚜렷하지 않아서 투구꽃(또는 그늘돌쩌귀)과 구별을 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았다.


 

 

↓ 지리산

 

 

 

 

 

 

 

지리바꽃 Aconitum chiisanense

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추 자란다. 뿌리는 마늘쪽처럼 굵고 육질이다. 덩이뿌리를 지리초오(智異草烏)라 한다. 잎은 어긋나고 3-5개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가 있다. 잎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으로서 다시 깃꼴로 갈라지고 최종 갈래조각은 달걀모양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털이 없다.

 

꽃은 7-9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며 꽃자루에 털이 있고 포는 줄 모양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뒤쪽의 꽃받침잎이 고깔처럼 위에서 내려 덮고 길이 2cm 정도로서 이마 끝이 뾰족하게 앞으로 나오며 양쪽 2개는 긴 대가 있어 고깔 같은 꽃받침잎 속으로 들어가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퍼진다. 씨방은 5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 열매는 골돌로서 끝에 암술대가 길게 남는다.

 

한국의 지리산과 중부 지방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국립수목원 식물도감 참조>

 

☞ "씨방은 5개가 서로 떨어져 있다."고 기재하고 있는데, 골돌과가 3개로 갈라진 것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