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is

by 모산재 2009. 9. 27.

↓ 홍릉수목원

 

 

 

 

  

 

 

 

↓ 창덕궁

 

 

 

이삭여뀌 Persicaria filiforme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80cm이고 마디가 굵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흩어져 있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긴 타원형, 도란형 또는 달걀형이며 길이 7-15cm, 폭 4-9cm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좁다.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털이 있고 표면에는 흔히 흑색 반점이 있다. 길이 5-30mm의 짧은 잎자루가 있고 턱잎은 원통형이며 길이 5-10mm로서 가장자리에 수염 같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적색이며 짧은 꽃자루가 있어 약간 휘고 이삭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윗부분에서 나오며 길이 20-40cm로서 꽃이 드문드문 달린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길이 2-3mm로서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5개이고 씨방은 둥근달걀형이며 암술(花柱)은 보다 길고 2개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양끝이 좁고 납작한 달걀형이며 암갈색이고 길이 2.5mm 가량으로서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으며 꽃받침(숙존악)에 싸여 있다.

 

 

 

 

더보기

▶ 전초는 금선초(金線草), 뿌리는 금선초근(金線草根)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 金線草(금선초)
① 가을에 채취하여 신선한 것 그대로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 약효 : 祛風濕(거풍습), 理氣(이기), 止痛(지통), 지혈, 散瘀(산어)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에 의한 骨痛(골통), 위통, 咳血(해혈), 토혈, 혈변, 血崩(혈붕), 월경통, 산후 血瘀腹痛(혈어복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 용법, 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환부를 씻는다.

 

⑵ 金線草根(금선초근)
① 약효 :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타박골절, 노상토혈, 이질, 복통, 월경불순, 월경통을 치료하고 또  곽란中惡(중악), 심복통, 喉痺(후비), 蠱毒(고독), 癰疽惡腫(옹저악종-화농성종양), 赤白游疹(적백유진), 蛇, 犬咬傷(사, 견교상)을 치료한다.
② 용법, 용량 : 15-30g을 달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또는 육류와 같이 약한 불에 볶아서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바르거나 갈아서 낸 즙을 바른다.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빛승마 Cimicifuga dahurica  (0) 2009.09.27
흰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for. alba  (0) 2009.09.27
기생여뀌 Persicaria viscosa  (0) 2009.09.27
삽주 Atractylodes ovata  (0) 2009.09.27
고본 Angelica tenuissima  (0) 2009.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