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금붓꽃 Iris minutiaurea, 암술과 수술

모산재 2008. 4. 26. 14:36

 

해가 잘 비치고 물이 잘 빠지는 산지의 건조한 풀밭에서 자라는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4~5월에 꽃줄기 끝에 노란색의 꽃이 한 송이가 달리는데, 꽃이 2개씩 달리는 노랑붓꽃과 다른 점이다. 보라색의 꽃을 피우는 붓꽃과는 달리 화려한 노란색의 꽃을 피우기 때문에 금붓꽃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 애기노랑붓꽃이라고도 한다.

 

노란 꽃잎에는 갈색 무늬가 있어 더욱 화려하게 보인다. 꽃잎은 아래쪽으로 늘어지는 3장의 외화피와, 위로 꼿꼿하게 서는 너비가 좁은 3장의 내화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내화피와 외화피 사이에 갈색 무늬가 없는 꽃잎 모양이 3장 더 있는데, 이는 꽃잎이 아니라 암술이다. 2조각으로 나눠진 암술의 끝은 서로 포개어져 있는데, 그 사이로 꽃가루가 들어가 꽃 아래쪽에 있는 씨방에 닿는다. 암술머리가 3갈래이므로 씨방도 3개의 방으로 갈라져 있어 삼각형처럼 생겼다. 수술은 꽃잎처럼 생긴 암술머리 아래 숨어 있다.

 


▼ 가장 큰 꽃잎이 외화피,  외화피 사이에 있는 것이 내화피, 외화피와 겹쳐져 있는 것이 암술이다. 수술은 암술 속에 감추어져 있다.

 

 




외화피에 나 있는 갈색의 무늬는 곤충에게 꿀의 위치를 알려주는데, 꿀에 가까이 갈수록 더 좁고 더 진하다. 어떤 붓꽃 종류는 무늬 대신 털이 나 있는데, 이때는 꿀에 가까이 갈수록 털이 더욱 빽빽하게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우리 나라 전역에 자생하지만, 중부지방 특히 경기도에 많이 분포한다. 그러나 자생하는 곳이 20여 곳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제한되어 있는 취약종이다. 개체수가 많지 않으나 꽃이 아름다워 사람들의 손을 타 자생지 훼손이 일어나기도 한다. 

 

편도선염, 인후염, 폐렴, 백일해 등에 뿌리줄기를 약용한다.

 



 

  

 

  

 

  

 

 

 

 

 



● 금붓꽃 Iris minutiaurea  /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좁은 선형으로 길이 11~26cm, 나비 5~9mm이며 끝은 점차 좁아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중륵이 뚜렷하지 않고 밑부분이 보라색을 띠기도 하며 묵은 잎이 있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황색으로 단단하며 수염뿌리는 황백색이고 근립이 있다.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꽃줄기는 곧추 서있고 끝에 2개의 포가 1개의 꽃을 싸는 정생꽃차례이며 꽃의 지름은 2~3.8cm이고 포는 줄모양 바소꼴로 길이 5.3~8cm이다. 외화피는 거꾸로 선 긴 달걀형 또는 주걱 모양으로 길이 2~2.7cm이고 끝이 파진다. 내화피 조각은 거꾸로 선 달바소꼴로 길이 1.5~2.3cm이고 곧추 선다. 암술대는 갈라지고 자방의 횡단면은 세모꼴이다. 삭과는 달걀형으로 날카로운 삼릉형이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꽃과 뿌리 모습  (0) 2008.04.30
동의나물  (0) 2008.04.30
애기괭이눈 꽃과 씨앗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0) 2008.04.26
달래 Allium monanthum 암꽃과 수꽃  (0) 2008.04.26
달래 Allium monanthum 암꽃  (0) 2008.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