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나래새 Stipa pekinensis

모산재 2009. 10. 15. 00:27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르면 '나래새'의 학명은 'Stipa pekinensis'인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나래새'라는 국명이 빠져 있으며 이에 대한 기재문이 없는 상태라 '나래새'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 '가는나래새'로 국명을 단 'Stipa sibirica'를 두산백과사전에서는 '나래새'로 적고 있으니 혼란스런 모습이다. 

 

게다가 'Stipa sibirica'의 분포지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백두산지역에서 자란다."고 제한하고 있는 데 비하여, 두산백과사전에는 전국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으니 어느 쪽 자료를 믿어야 할까...

 

'나래새(Stipa pekinensis)'에 대한 기재문인지 '가는나래새(Stipa sibirica)'에 대한 기재문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일단은 두산백과사전의 '나래새(Stipa sibirica)'에 대한 기재문을 올려 두기로 한다. 남부지방에 두루 분포하는 걸로 본다면 '나래새(Stipa pekinensis)'에 대한 기재문이 아닐까 싶다.

 

 

 

↓ 굴업도

  

 

 

 

 

 

 

 

 

 

 

 

 

 

 

나래새 Stipa sibirica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뭉쳐나고 엷은 녹색이다. 높이는 90∼120cm이다. 잎은 길이가 20∼30cm, 폭이 3∼5mm로 안으로 말리며 가장자리가 껄끄럽고 잎집과 더불어 잔털이 있으며 잎집과 연결되는 곳에는 다소 긴 털이 있다. 잎혀는 길이 1.2mm 정도이다.

 

꽃은 8월에 피고 줄기 끝에 길이 30∼50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루는데, 마디마다 둘러난 3∼4개의 가지에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1개의 꽃으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8mm 정도이며 자줏빛이 돌며 뒷면에 털이 조금 있다.

 

작은이삭의 밑에는 2개의 포영(:작은이삭의 밑에 난 한 쌍의 포)이 있는데, 두 포영은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서로 크기가 비슷하고 길이가 9mm 정도이며 첫째 포영에는 3개의 맥이 있다. 호영(: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길이가 6∼8mm이며 겉에 털이 있고 길이 18∼20mm의 긴 까끄라기가 있다. 꽃밥은 끝에 털이 있다.

 

제주도·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강원도·경기도·황해도·평안남도·평안북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두산백과사전>

 

 

 

 

나래새로 여기고 찍은 아래의 사진

 

나래새는 소수가 하나의 열매로 되어 있는데, 아래는 여러 개의 열매로 되어 있는 모습이 나래새와 다르다.

 

무엇일까?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방망이 Senecio nemorensis   (0) 2009.10.15
쑥방망이 Senecio argunensis   (0) 2009.10.15
뚝갈 Patrinia villosa, 꽃과 여름형 뿌리잎  (0) 2009.10.15
갯씀바귀 Ixeris repens  (0) 2009.10.15
환삼덩굴 수꽃과 암꽃  (0) 200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