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버섯 249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북한 이름은 '나도개암버섯'이다. 뽕나무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턱받이 고리가 없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여름~가을에 참나무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 살아 있는 나무의 밑동 등에 뭉쳐서 자란다. 식용하기도 하지만 설사를 유발하는 등 소화가 잘 안 되므로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약 재료로 약용하며, 항암식품으로도 이용한다. 외생균근 형성균으로 천마와 공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천마를 인공 재배하기도 한다. 2023. 07. 29. 서울 2023. 08. 02. 서울 ●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10cm로 처음에 반구가 반으로 잘린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편평하거나 편평하면서 가운데가 파인 모양으로 변한다. 갓 표면 ..

버섯, 균류 2023.08.04

분말그물버섯 = 노랑분말그물버섯 = 갓그물버섯 Pulveroboletus ravenelii

갓 표면은 약간 끈적끈적하고 레몬색 가루로 덮여 있으며, 가운데는 약간 갈색을 띤다. 갓의 아랫면은 자루에까지 레몬색의 거미집막으로 덮여 있으며 살은 흰색 또는 노란색이지만 상처를 입으면 푸른색으로 변한다. '노랑분말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에서는 '갓그물버섯'이라는 국명으로 기록하고 있다. 부생균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림이나 침엽수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7. 28. 서울 2023. 07. 25. 서울 2023. 07. 29. 서울 ● 분말그물버섯(갓그물버섯) Pulveroboletus ravenelii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분말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10cm로 처음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펴진다. 또한 처음에는 ..

버섯, 균류 2023.08.03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iana

흙에서도 나고 죽은 나무의 줄기나 그루터기에서도 자란다. 크기도 다양하고 모양과 무늬도 때와 장소에 따라 달라 상당히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이는 눈물버섯속의 버섯이다. 하지만 갓 끝에 내피막 잔유물이 붙어 있는 모습으로 그 정체를 드러내는 점은 공통적이다. 맛과 향기가 부드러운 식용 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다. 2023. 07. 28. 서울 2023. 07. 27. 서울 2023. 07. 25. 서울 2023. 08. 17. 서울 ●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iana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6cm로 반막질이고 종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돌출한다. 표면은 처음에 밀황색 또는 갈색에서 희게 되며 중앙부는 홍황색이다. 털이 없거나 미세한 알갱이..

버섯, 균류 2023.08.01

애기무당버섯 Russula densifolia

촘촘한 주름에 노균 전체가 까맣게 변하는 등 검은무당버섯과 모양이 비슷해서 구별이 쉽지 않은 버섯이다. 검은무당버섯은 상처가 나면 이내 검게 변하는 데 비해서 애기무당버섯은 상처를 내면 즉시 붉은색을 띠다 서서히 검게 변하는 점으로 구별된다. 이 점은 절구무당버섯과 비슷하나 절구무당버섯은 주름이 훨씬 넓은 점으로 쉽게 구별된다. 북한 이름은 '밴주름검은갓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소나무 등 침엽수림 또는 혼합림의 땅 위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버섯이나 비슷한 독버섯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2023. 07. 27. 서울 2023. 09. 01. 서울 ● 애기무당버섯 Russula densifoli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4~7cm, 어릴 때는 중앙이 오목한 낮은 둥근 ..

버섯, 균류 2023.07.30

큰눈물버섯 Lacrymaria lacrymabunda(Psatyhrella velutina)

갓은 황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빽빽이 퍼져 있고 가장자리에 내피막 조각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다소 빽빽한데 연한 황색에서 회갈색으로 바뀌고 흑색으로 변한다. 여름~가을에 숲속의 땅, 길가, 정원 풀밭에 홀로 또는 무리를 지어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7. 27. 서울 ● 큰눈물버섯 Lacrymaria lacrymabunda(Psatyhrella velutina) | weeping widow mushroom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큰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0cm로 종 모양이지만 가운데가 편평하다. 표면은 다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섬유상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가장자리에는 내피막의 흔적인 섬유상의 털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로 검은 자갈색이며 검은 반점이 생기고 가장자리에..

버섯, 균류 2023.07.30

꼬막버섯(꽃잎꼬막버섯) Hohenbuehelia petaloides

주택가 옆 작은 공원의 활엽수 그늘, 푸른 이끼로 덮인 언덕 한쪽에 느타리를 연상시키는 연한 회갈색 버섯들이 낙엽을 꽂아 둔 듯한 모양으로 서 있는 모습이 눈길을 끈다. 처음으로 만나는 꼬막버섯이다. 주걱처럼 한쪽 방향으로 자란 버섯은 쫄깃하고 질긴 질감이 느껴진다. 땅속에 묻힌 나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종명(petaloides)을 반영한 이름으로 '꽃잎꼬막버섯'이라고도 한다. 영명으로는 나무이파리 모양의 버섯이라는 뜻에서 leaflike oyster, 구두주걱을 닮은 느타리라는 뜻에서 shoehorn oyster라 불리고 있다. 여름~가을에 나무그루터기나 땅에 묻힌 나무에서 무리로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7. 27. 서울 2023. 08. 01. 서울 2023. 08. 15. 서..

버섯, 균류 2023.07.30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ina => 자주졸각버섯아재비 Laccaria japonica

아파트 주변 소공원의 숲그늘에 보랏빛 졸각버섯이 일제히 돋아났다. 버섯 전체가 자주색으로 특히 성긴 주름살이 짙은 보랏빛을 띤다. 마르면 주름살 이외의 갓과 자루는 황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으로 퇴색한 모습을 보인다. 북한 이름은 '보라빛깔때기버섯'이라고 한다. 자주색 갓 표면이 마르면 회갈색빛을 띠는 이 버섯은 지금까지 자주졸각버섯(Laccaria amethystea)으로 알려져 왔지만 연구 결과 자주졸각버섯아재비의 오동정으로 밝혀졌다. 여름~가을에 발생하며 주로 참나무나 자작나무류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맛있는 식용 버섯이라고 한다. 2023. 07. 27. 서울 ● 자주졸각버섯 Laccaria amethystina ↘ 주름버섯목 졸각버섯과 졸각버섯속 갓은 2~5cm의 소형으로 자실체 전체가 보라색을 ..

버섯, 균류 2023.07.30

가지무당버섯 Russula amoena

아파트단지 옆 소공원 활엽수 짙은 그늘 아래 이끼가 덮힌 땅에 보랏빛 무당버섯 여럿이 손뼘 거리를 두고 발생하였다. 갓과 자루가 보랏빛인 점으로도 금방 알아볼 수 있는 비교적 소형인 가지무당버섯이다. 맡아보지는 못했는데 청어 냄새가 난다고 한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의 땅에 나는 식용 버섯인데 맛은 좋은 편이라 한다. 2023. 07. 27. 서울 ● 가지무당버섯 Russula amoen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3~6cm, 어릴 때는 반구형이었다가 후에 둥근 산 모양이 되며 중앙부가 오목한 편평형이 되고 결국에는 약간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할 때 점성이 있고 분상이다. 포도주색-회자색, 회색을 띤 적색 등을 나타낸다. 성숙하면 가장자리에 요철 줄무늬 홈선이 생긴..

버섯, 균류 2023.07.29

담황색주름버섯 Agaricus sylvicola

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이 산의 능선부 살짝 골진 땅에서 종종 보이는 주름버섯이다. 유백색~회백색의 갓은 비교적 큰 편이고 중심부에 황색빛이 비치고 자루에 상처를 주면 진한 황색으로 변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7. 25. 서울 ● 담황색주름버섯 Agaricus sylvicola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2.5cm로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마르고 매끈하며 유백색, 회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고 중앙은 가끔 다갈색이다. 섬유상의 털이 압착되어 있으며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가끔 피막의 잔편이 붙어 있다. ..

버섯, 균류 2023.07.29

긴꼬리버섯(민긴뿌리버섯) Xerula radicata => Hymenopellis radicata

갓은 연한 밤색~잿빛 밤색이고 버섯 자루는 곧고 질긴 섬유질이며 밑부분은 부풀었다가 다시 긴 뿌리가 되어 무려 최대 35cm까지 깊이 들어가는 독특한 형태의 버섯이다. 오랫동안 '민긴뿌리버섯'으로 불려오다 이름이 바뀌었다. 영명도 'deep root mushroom'(긴뿌리버섯)를 쓰고 그 밖의 이름으로 'beech rooter'(너도밤나무뿌리), 'the rooting shank'(뿌리 내리는 자루)' 등이 있다. 여름~가을에 숲속이나 대나무밭 등 땅이나 썩은 나무에 단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송이과에서 뽕나무버섯과로 재배치되었다. 2023. 07. 24. 서울 2023. 07. 25. 서울 ● 긴뿌리버섯 Hymenopellis radicat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긴꼬리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

버섯, 균류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