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버섯 249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북한 이름은 '나도개암버섯'이다. 뽕나무버섯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턱받이 고리가 없는 점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여름~가을에 참나무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 살아 있는 나무의 밑동 등에 뭉쳐서 자란다. 식용하기도 하지만 설사를 유발하는 등 소화가 잘 안 되므로 과식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한약 재료로 약용하며, 항암식품으로도 이용한다. 외생균근 형성균으로 천마와 공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천마를 인공 재배하기도 한다. 2023. 08. 02. 서울 ● 뽕나무버섯부치 Armillaria tabescens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10cm로 처음에 반구가 반으로 잘린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편평하거나 편평하면서 가운데가 파인 모양으로 변한다. 갓 표면 가운데에 섬유처럼 생긴 비늘조각..

버섯, 균류 2023.08.08

노란대망그물버섯(밤색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망그물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이며 올리브 암갈색에서 황색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노란색으로 거의 전면에 도드라진 그물무늬가 있으며 밑동은 흰 균사가 덮여 있다. '밤색망그물버섯'이라고도 한다. 조덕현 도감에서는 밤색망그물버섯을 노란대망그물버섯과는 다른 Retiboletus retipes라는 학명을 쓰고 있는데, 북미에서 두 종이 형태학적 해부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종이라고 한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의 땅에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8. 02. 서울대모산 2023. 08. 04. 서울 ● 노란대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 ornate-stalked bolete, goldstalk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망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버섯, 균류 2023.08.08

반벗은귀신그물버섯=회갈색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seminudus

신갈나무 우거진 숲그늘에 조금 낯선 갓 모양을 가진 귀신그물버섯 종류를 만난다. 귀신그물버섯에 비해 갓 표면의 비늘 조각이 회갈색으로 작고 눌러져 붙어 있다. '회갈색귀신버섯'이라고도 하는 '반벗은귀신그물버섯'이다. 살은 회백색에서 붉은색을 거쳐 검은색으로 변하고, 관공은 회백색에서 그을음색이 된다. 버섯 자루는 구부러지고 윗부분이 더 가늘며 단단하지만 잘 부러진다. 윗부분에 그물눈이 세로로 길게 있고 아랫부분은 가는 비늘조각처럼 생겼다. 버섯갓 꼭대기에 부드러운 털처럼 생긴 융기부가 있다. 여름~초가을에 활엽수림 땅에 홀로 또는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3. 08. 02. 서울 ● 반벗은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seminud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귀신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3~7c..

버섯, 균류 2023.08.07

우산광대버섯(우산버섯) Amanita vaginata

버섯갓 가장자리에 홈이 파진 방사상의 줄이 있는 우산 모양의 회백색 버섯이다. 턱받이가 없는 광대버섯속으로 북한 이름은 '학버섯'이다. 버섯 자루는 희고 밋밋하며 위쪽이 상대적으로 가늘고 속은 비어 있으며 아랫부분에 커다란 흰 자루 주머니가 형성된다. 여름~가을에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흩어져서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8. 02. 서울 ● 우산버섯 Amanita vagina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6cm로 종모양에서 둥근산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쥐회색, 회갈색 또는 회청색이며 중앙부의 색깔은 더 진하다.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줄무늬홈선이 있고 때로는 위로 뒤집혀 감긴다. 살은 희고 얇으며 맛이 ..

버섯, 균류 2023.08.07

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strobilaceus

해마다 활엽수 몇 그루와 작은 관목이 어우러진 이 자리에서 나는 귀신그물버섯이다. 흰색 바탕에 부드러운 갈색 비늘조각이 덮인 이 버섯을 그냥 귀신그물버섯으로 보아야 할지, 아니면 마른귀신그물버섯(Strobilomyces dryophilus)으로 보아야 할지 판단이 참으로 어렵다. 일반적으로 귀신그물버섯으로 보는 듯하다. 여름~가을에 잣나무, 침엽수, 활엽수의 혼효림의 땅에 흩어져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8. 01. 서울 ● 귀신그물버섯 Strobilomyces strobilace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귀신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이 4~7cm이고 반구형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처음 회백색에서 연한 갈색을 거쳐 흑색이 되며 껄껄한 인편과 사마귀로 덮인다. 살은 두껍고 백색 또는..

버섯, 균류 2023.08.06

젖비단그물버섯 Suillus granulatus

산지와 이어지는 아파트 단지 소공원 관목 그늘에 6월에 이어 50여 일만에 또 한 무리의 젖비단그물버섯들이 자라났다. 비단그물버섯속으로는 유일하게 어린 버섯에서 흰 유액이 잘 나오는 버섯이다. 갓은 밤갈색인데 습기가 있을 때는 끈적기가 있고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소나무숲 땅에 군생한다. 2023. 08. 01. 서울 2023. 07. 27. 서울 2023. 09. 01. 서울 ● 젖비단그물버섯 Suillus granulat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0cm로 반구형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거의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밤갈색인데 습기가 있을 때는 심한 끈적기가 있으나 나중에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 살은 연하고 황백색 또는 황색이..

버섯, 균류 2023.08.06

볏싸리버섯 Clavulina coralloides

스트로브잣나무가 숲을 이룬 땅에 산호 모양의 희고 작은 버섯들이 무리를 이루어 자라나 있다. 여러 개의 줄기로 가지가 벌고 가늘게 갈라져 날카로운 끝 부분은 닭의 볏 모양으로 노란색을 띠고 있다. 자실체는 가지가 많지만 1개만 있는 경우도 있다. 여름~가을 혼합림 내 땅 위에 뭉쳐서 발생한다. 구린 냄새가 나지만 식용할 수 있다. 2023. 08. 01. 서울 2023. 08. 29~30. 서울 ● 볏싸리버섯 Clavulina coralloides ↘ 꾀꼬리버섯목 볏싸리버섯과 볏싸리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3~8cm, 여러 개의 가지가 나뭇가지 모양으로 분지된다. 상단이 가늘고 뾰족한 가지로 많이 분지되어 닭볏 모양이 된다. 전체가 흰색-담황토색이었다가 후에 회백색-담회갈색 등이 된다. 다발 모양의 밑동은..

버섯, 균류 2023.08.05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처음으로 만나는 애기젖버섯, 이 언덕 아닌 다른 곳에서도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젖버섯이다. 짙은 갈색의 갓과 자루, 알맞게 성기고 가지런한 흰 주름살의 대비가 선명하고 해서 깔끔한 이미지를 주는 버섯이다. 하얀 유액도 풍부하게 분출된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땅에 여기저기 흩어져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8. 01. 서울 위의 버섯들은 잿빛헛대젖버섯(Lactarius lignyotus)이 의심되기도 한다. 2023. 08. 24. 서울 ● 애기젖버섯 Lactarius gerardii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균모는 지름 5~7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고 중앙이 들어가지만, 한가운데는 돌출한다. 표면은 끈적임이 없고 비로드 같은 가는 털이 밀생하..

카테고리 없음 2023.08.05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Amanita pseudoporphyria

광대버섯속의 비교적 대형 버섯이다. 갓 표면은 회갈색~짙은 갈색으로 흰 외피막 조각이 붙어 있기도 한다. 주름살은 흰색~크림색이고 자루는 흰색이고 턱받이는 희고 위쪽에 막질의 치마 모양이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침엽수림의 땅과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일부에서 식용으로 채취하기도 하는데 위장 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설사, 구토, 복통 등을 보이며 다량 섭취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니 조심하는 것이 좋다. 원인 성분은 나에마톨린, 람프테롤 글리지신 등이 있으며 독소가 동정되지 않은 경우도 있다. 2023. 07. 29. 서울 ● 암회색광대버섯아재비 Amanita pseudoporphyri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로 반구형에서 둥근 산 ..

버섯, 균류 2023.08.05

노란대망그물버섯(밤색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망그물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점성이 없고 약간 비로드상이며 올리브 암갈색에서 황색을 띤 갈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노란색으로 거의 전면에 도드라진 그물무늬가 있으며 밑동은 흰 균사가 덮여 있다. '밤색망그물버섯'이라고도 한다. 조덕현 도감에서는 밤색망그물버섯을 노란대망그물버섯과는 다른 Retiboletus retipes라는 학명을 쓰고 있는데, 북미에서 두 종이 형태학적 해부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종이라고 한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림의 땅에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7. 29. 서울대모산 2023. 08. 01. 서울 2023. 08. 11. 서울 ● 노란대망그물버섯 Retiboletus ornatipes | ornate-stalked bolete, goldstalk ↘ 그물버섯목 그물..

버섯, 균류 2023.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