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밀류 등과 함께 갯보리속의 기본종인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부지방 고산지에 분포하며 이삭꽃차례 끝이 밑으로 처지는 개보리(E. sibiricus)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포영은 피침형으로 호영 길이의 4/5 정도로 짧은 점이 다르다. 호영 끝에 길이 8~15㎜의 까락이 있다. 중국 이름은 '披碱草'(피감초).
우리나라 전역 해안 또는 드물게 내륙에도 자라며 러시아, 중앙아시아, 몽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025. 06. 12. 삼척
● 갯보리 Elymus dahuricus | Dahurian wheatgrass, Dahurian wildrye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갯보리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총생하며 굵고 높이 30~120㎝, 3~5마디가 있고 마디에는 털이 없다. 엽신은 길이 10~30㎝, 너비 3~9㎜이다. 엽초는 밋밋하지만 기부의 것은 긴 털이 있다. 엽설은 길이 0.5㎜ 정도이다. 총(raceme)은 길이 7~23㎝, 2개씩 짝을 지은 많은 소수가 간격이 없이 밀집한다.
소수는 납작하고 길이 10~15㎜, 3~4개의 소화가 있다. 2개의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7~11㎜, 3개의 긴 맥과 2~4개의 짧은 맥이 있고 끝은 짧은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길이 6.5~11.0㎜, 혁질, 위쪽에 용골이 생기고 5맥, 끝에 길이 8~15㎜의 까락이 있다. 내영은 호영과 같은 길이이며, 용골은 까끌거린다. 열매는 영과임.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갯보리는 갯보리속의 기준종으로 국내나 중국식물지에서는 기록되고 있으나 위키피디어 등 최근 기록에서는 Campeiostachys dahurica로 기재하고 있다.
○ 갯보리는 우리나라에서는 해안지역에 주로 분포하지만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중국 서부 등 아시아 내륙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남한 내에서도 태백 지역에서 자생이 확인되고 있다.
※ 참고 자료 : wikipedia.org/Campeiostachys_dahurica efloras.org/id=200025311 powo.science.kew.org/77323248-1 gbif.org/species/5290313
• 산갯보리(var. villosulus) : 갯보리의 변종으로 마디에 털이 난다. 중부지방
• 개보리(Elymus sibiricus) : 북부지방 고산지 자생. 갯보리에 비해 포영은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4~5mm, 호영 길이의 1/2~2/3이다.
• 갯그령(E. mollis) : 근경은 옆으로 뻗고 줄기는 굵고 밋밋하다. 이삭에 까락이 없다.
☞ 갯보리 => https://kheenn.tistory.com/12127886
☞ 갯그령 => https://kheenn.tistory.com/15858776 https://kheenn.tistory.com/15852394 https://kheenn.tistory.com/15852375
☞ 개밀, 속털개밀 => https://kheenn.tistory.com/15862761
☞ 속털개밀 => https://kheenn.tistory.com/15862706
☞ 구주개밀 => https://kheenn.tistory.com/15855542
☞ 까락구주개밀(구주개밀) => https://kheenn.tistory.com/15862691
* 호밀풀(호밀풀속) => https://kheenn.tistory.com/15852193
* 쥐보리(호밀풀속) => https://kheenn.tistory.com/15858712
'벼과 사초과 골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털새 Holcus lanatus (0) | 2025.07.22 |
---|---|
양뿔사초 Carex capricornis (0) | 2025.07.18 |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0) | 2025.07.12 |
갯그령 Leymus mollis (0) | 2025.07.11 |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0)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