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1 6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거울에도 계곡 주변 습기 있는 활엽수 줄기 등에서 자라는 붉은목이류로, '분홍빛붉은목이'라는 임시명으로 불리는 Dacrymyces roseotinctus로 보인다. 봄이 깊어지며 숲속 그늘진 곳에서 조금씩 발생하는 모습이 보인다.  식용, 독성 여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로 활엽수의 재목, 죽은 나무줄기 등에 발생한다.    2024. 05. 16.  서울      ● 분홍빛붉은목이(임시명) Dacrymyces roseotinctus  ↘  붉은목이강 붉은목이목 붉은목이과 붉은목이속  자실체는 아구형에서 부정형 모습을 띠다가 아래 줄기가 분지하며 자란다. 성숙체는 15mm까지 자라며 머리쪽이 커지면서 문고리 모양이나 쿠션 모양이 된다. 색은 연한 살색에서 핑크색이다. 머리 가장자리는 굽은 파도형이거나 ..

버섯, 균류 2024.05.21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나무껍질이나 가지가 검은색인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이 종은 전체에 털이 있고 잎, 어린 가지, 꽃차례에 별 모양 털이 있으며 수술대는 꽃부리와 거의 떨어져 달리므로 산가막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 자생하고 일본, 중국,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     2024. 05. 16.  서울       ●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 linden arrowwood, linden viburnum  ↘  목련강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 관목높이는 3m이고, 어린 가지에 별 모양 털과 샘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 잎끝은 갑자기 뾰족하게 좁아지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비슷하다. 길이 6~12cm, 폭 3~13cm이며 양면에 별 ..

우리 나무 2024.05.21

난버섯 Pluteus cervinus

갓 표면은 회갈색으로 방사상의 섬유 무늬 또는 작은 비늘조각이 덮고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이고 밀생한다. 폭은 넓고 길이는 같지 않으며 백색에서 분홍색으로 된다. 갓 크기는 조덕현은 3~4cm, 두산백과는 5cm로 기록하고 있으나 위키피디어에서는 3~15cm로 큰 차이를 보인다.  봄~가을 활엽수의 죽은 나무, 그루터기 등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 가능하다.    2024. 05. 13-16.  서울          ● 난버섯 Pluteus cervinus | deer shield, deer mushroom, fawn mushroom  ↘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균모는 지름 3~4cm이며 종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진다. 균모의 표면은 습기가 ..

버섯, 균류 2024.05.21

갈퀴덩굴 Galium spurium, 열매

대모산 산책을 나선 길, 도중 민가의 울타리에 무성하게 기어오른 갈퀴덩굴의 열매를 담아 보았다. 소먹이풀로 흔히 이용했던 생명력 강한 꼭두서니과의 잡초이다. 큰잎갈퀴에 비해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잎은 끝이 까락처럼 되고 꽃차례는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나오며 꽃부리는 연녹색이므로 구분된다.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2024. 05. 13.  서울      ● 갈퀴덩굴 Galium spurium var. echinospermum | stickwilly, false cleavers  ↘  목련강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한두해살이풀줄기는 식물체에 기대서 올라가고 네모가 지며 능선에 밑을 향한 잔 가시가 있다. 잎은 6~8개씩 돌려나기하고 좁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

우리 풀꽃 2024.05.21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열매

부채를 닮은 독특한 모양의 미선나무 열매가 조랑조랑 달렸다. 지난해에 형성되었던 꽃눈에서 3월에 잎보다 먼저 개나리 꽃모양의 흰 꽃이 피는데, 향기가 없는 개나리꽃과 달리 미선나무의 꽃은 향기가 뛰어나다. 열매는 둘레에 날개가 있는 원반 모양의 시과로 지름 25mm 정도로 크고 안에는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충북 괴산과 진천, 전북 부안 등에서 자생하며 돌밭으로 척박한 곳에서 자라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2024. 05. 12.  구리      ●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  목련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관목높이는 1m에 달하고, 가지는 끝이 처지며 자줏빛이 돌고, 어린 가지는 네모..

우리 나무 2024.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