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2 4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iosa

고대산 임도길에서 만나는 산괴불주머니는 미색에 가까운 색깔로 흰색이 강하게 느껴진다. 현호색속의 두해살이풀로 황색 꽃이 화려하고 개화 기간이 길어 정원용 식물로 가치가 크다. 영명은 Beautiful corydalis. 꽃은 아름답지만, 식물체를 뜯으면 비릿한 냄새가 거슬린다. 가을에 싹이 나서 자라고 다음해 이른 봄부터 꽃을 피운다. 속명 코리달리스(Corydalis)는 꿀주머니가 있는 꽃 모양이 '종달새'를 닮은 데서 유래하고, 종소명 스페치오자(speciosa)는 아름답다는 의미의 라틴어다. 산지 비탈진 땅에 자란다. 우리나라, 일본 호카이도,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임도길       ● 산괴불주머니 Corydalis spec..

우리 풀꽃 2024.05.22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메꽃(C. japonica)에 비해서 전체가 작고, 꽃은 흰색에 가까우며, 꽃자루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저지대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메꽃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연해주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 Ivy-like bindweed, False bindweed  ↘  가지목 메꽃과 메꽃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20-70cm 정도로 자란다. 덩굴지는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땅속줄기는 백색이고 다소 굵은 땅속줄기가 가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순이 돋는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3-10cm길이의 엽병이 있고 밑부분이 양쪽으로 뾰족해지며 각 2개로 다시 갈라지..

우리 풀꽃 2024.05.22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국화과 나도민들레속의 한해살이풀이자 유럽과 중앙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2004년 강원도 평창 강원도 월정사 인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민들레와 꽃이 비슷하지만 키가 크고 줄기에 좁은 잎이 달리고 가지가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중국 이름은 옥근초(屋根草). 2005년 이유미 , 박수현 , 정재민에 의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Amaranthus hybridus)과 나도민들레(Crepis tectorum)>라는 이름으로 보고되었다. 북반구에 널리 귀화하여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 narrowleaf hawksbeard  ↘  국화목 국화과 나도민들레속 한해살이풀높이 20-100cm이며 7-8개의 모서리와 백색 털이 있..

원예 조경종 2024.05.22

경기 둘레길 12코스, 고대산 기슭의 5월 풀꽃나무 산책

2024. 05. 18. (토)연천 신탄리역 - 내산리 삼보쉼터   산울림 선생님들과 5월 세째주 트레킹, 지난 가을에 걸었던 경기둘레길 11코스에 이어 연천 신탄리역에서 내산리 삼보쉼터까지 12코스. 옛 금강산 철길이 있던 한탄강 옆에 우뚝 솟은 고대산(832m) 기슭, 임도를 따라 걷는 길이다. 신탄리역은 2012년 11월 백마고지역이 개통되기 전까지 경원선 철도 중단점이었다. 한국전쟁 전에는 북한 지역이었다 전후 남한 땅이 되었다. 고대산의 풍부한 임산자원을 이용해 만든 숯이 유명하여 '새 숯막(신탄)'으로 불리었다.    트레킹은 고대산자연휴양림 입구에서 시작된다.     자연휴양림 입구   나도민들레   애기메꽃   노란색이 아닌 미색인 산괴불주머니가 대세   세잎양지꽃   양지꽃   길뚝사초 ..

풀꽃나무 일기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