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광대나물(코딱지나물) Lamium amplexicaule

모산재 2024. 4. 18. 22:59

 

봄볕이 따스하게 잘 비추는 고향집 앞 들판과 언덕에 겨울형 한해살이풀로 불리는 광대나물꽃이 지천으로 피었다. 가을이나 겨울 따뜻한 날에 발아해서 추운 겨울을 지나고 이른 봄이 되면 본격적으로 꽃을 피우는 풀이다.

한자명 '보개초(寶蓋草)'는 ‘보물(부처)을 싸고 있는 풀’이라는 뜻으로, 꽃이 마주하는 포엽(苞葉)에 싸여 있는 모양을 나타낸 이름이다. 종소명 amplexicaule도 줄기를 감싸고 있는 포엽 모양을 의미하는 라틴어다.

풀밭이나 습한 길가, 밭둑에서 자란다.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04. 13-14.  합천 가회

 

 

 

 

 

 

 

 

●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 common henbit, greater henbit  ↘  꿀풀목 꿀풀과 광대나물속 한두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며 네모지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뭉쳐 나고 원줄기는 가늘며 자주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지름 1~2cm로서 엽병이 길며 원형이고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으며 반원형이고 양쪽에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의 꽃이 나와 돌려나기한 것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길이 5mm 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잔털이 있으며 꽃부리는 판통이 길고 하순이 3개로 갈라지며 상순은 앞으로 약간 굽고 바깥면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2강 웅예, 닫힌꽃이 흔히 생긴다. 열매는 소견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거꿀달걀모양으로 전체에 흰 반점이 있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전초를 '보개초(寶蓋草)' 라 하며 약용한다. 거풍, 소종(消腫), 지통(止痛), 지혈의 효능이 있어 근골동통,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 참고 자료 : Lamium amplexicaule - Wikipedia   Lamium amplexicaule L. (gbif.org) 

 

 

☞ 자주광대나물 => 

☞ 광대수염 => 광대수염 Lamium album var. barbatum (tistory.com) 

☞ 일본 광대수염 => https://kheenn.tistory.com/15856863

 

※ 광대나물속(Lamium) 자생종

• 광대나물 Lamium amplexicaule L. :

• 왜광대수염 Lamium album L. : 내몽골 등 더욱 북쪽에 자라며, 꽃이 달리는 곳의 잎에 잎자루가 없다.

• 광대수염 Lamium album var. barbatum (Siebold & Zucc.) Franch. & Sav. : 줄기 밑둥이 2-3mm 정도로 가늘고 꽃은 노란색을 띤 흰색이다.

• 섬광대수염 Lamium takesimense Nakai : 울릉도 특산. 줄기 밑둥이 1-2cm 정도로 두툼하게 자라며 꽃이 순백색이다.

• 호광대수염 Lamium cuspidatum Nakai : 북부지방. 잎이 긴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서 길쭉하며, 꽃은 연한 보라색

<귀화종> • 자주광대나물 Lamium purpureum 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