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nunculus 17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대개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가 선자령 오르는 고산지에도 윤이 나는 노란색 꽃을 지천으로 피웠다.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들의 습한 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기준종이다. 꽃말은 '아름다운 인격'.  우리나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가운데 가장 흔한 식물이며, 뿌리잎은 깊게 갈라지기는 하지만 겹잎이 아니라 홑잎이므로 다른 종들과 구분할 수 있다.  중국, 대만(타이완), 일본에도 분포한다. 유독 식물이나 항종양성이 있다고 하여 약용한다.    2024. 06. 07.  대관령        ● 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japonicus | East Asian buttercup  ↘  목련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전체에 흰 털..

우리 풀꽃 2024.06.14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고향 집 마당 앞 물고랑에 따뜻한 봄볕을 받으며 무성히 지라난 개구리자리가 꽃차례에 매단 꽃봉오리를 조심스럽게 열고 있다. '놋동이풀', '늪바구지'라고도 한다. 열매가 원기둥 모양으로 모여 달리는 점이 젓가락나물(R. chinensis)과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나는 점, 여러해살이풀이가 아닌 한두해살이풀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논이나 개울 등 습지에서 흔하게 자란다.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북반구에 널리 분포힌다. 유독식물이나 약용한다.    2024. 04. 12-14.  합천 가회        ●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 celery-leaved buttercup, cursed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한두해살이풀줄..

우리 풀꽃 2024.04.18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미나리아재비속 자생종 20종

뿌리잎이 삼각상 난형으로 3개의 작은잎으로 나누어지고 작은잎에 자루가 있는 점에서 젓가락나물과 비슷하나 잎 갈래조각이 보다 넓고, 열매는 구형인 점으로 원통형인 젓가락나물과 구별된다. 1회 3출엽이고 작은 잎의 갈래조각이 넓고 꽃잎이 타원형인 점으로, 잎이 2회 3출하며 갈래잎이 가늘고 좁으며 꽃잎이 좁고 긴 개구리미나리와 구별된다.  햇빛이 잘 드는 습한 땅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부 이남에서 자라며, 히말라야 산지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2022. 11. 02.  서울 수서       ● 털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cantoniensi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밑부분에 퍼진 털이 있으며 윗부분에 복모가 있고 높이 30-80cm이며..

우리 풀꽃 2022.11.03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제주도 한라산 고산지대 습하고 바위가 많은 풀밭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이다.  미나리아재비와 비슷하지만 식물체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작은 점에서 별개의 종으로 구별한다. '구름미나리아재비', '구름바구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2022. 05. 19.  제주 한라산            ●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 Hallasan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는 약 10cm까지 자라고, 전체에 갈색 털이 많이 있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수염뿌리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나누어지기도 한다. 뿌리잎은 3개로 갈라지고, 깊게 파여 있거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날카롭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잎은 크기가 작으며 잎자루가..

우리 풀꽃 2022.06.06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한라산에서 만난 바위미나리아재비.  제주도 한라산 해발고도 1,000m 고산지대 습하고 바위가 많은 풀밭에서 자라는 한국 고유종이다. 미나리아재비와 비슷하지만 식물체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작은 점에서 별개의 종으로 구별한다. '구름미나리아재비', '구름바구지'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2022. 05. 17.  한라산             ●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는 약 10cm까지 자라고, 전체에 갈색 털이 많이 있다. 뿌리줄기는 굵으며 수염뿌리가 발달한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나누어지기도 한다. 뿌리잎은 3개로 갈라지고, 깊게 파여 있거나 톱니가 있으며 끝이 날카롭고 잎자루가 길다. ..

우리 풀꽃 2022.05.24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개구리가 앉아 있기에 좋은 물가에 개구리 물갈퀴 같은 잎을 달고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의 두해살이 습지식물이다. 중부 이남에 자생하며 유독성 식물이다. 열매가 원주형으로 모여 달리는 특징은 젓가락나물(R. chinensis)과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없고 여러해살이풀이 아닌 점으로 다른 미나리아재비과 식물과 구별된다. 태안 구례포 ●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줄기는 높이가 50cm에 달하며 곧추서고 비교적 털이 없어 매끈하며 윤채가 있고 속이 비었다. 흰색의 수염뿌리가 뭉쳐난다. 뿌리잎은 모여나기하며 긴 엽병이 있고 엽신은 길이 1-4cm, 폭 1-5cm로서 신원형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밑부분은 벌어진 심장저(心臟底) 또는 쐐기모양..

우리 풀꽃 2017.06.24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미나리아재비에 비해서 전체가 소형이며 잎이 깊게 갈라지고, 수과에 짧은 털이 있으며 비후하다. 계룡산 및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지(해발 약 1,000m) 햇볕이 잘드는 부식질이 풍부한 토양의 습지에서 자란다. 꽃이 지고난 5월 말 경에 지상부가 고사하고 휴면에 들어간다. 곰배령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 Franchet's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털이 약간 있고 길이가 10-25cm 정도 된다. 방추형의 덩이뿌리가 있다.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길이 2-2.5cm, 폭 2.5cm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열편은 쐐기모양이며 측열편도 2-3개로 갈라지고 모두 결각상 및 큰 톱니가 있다. 줄..

우리 풀꽃 2016.04.27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왜미나리아재비는 경기도와 강원도 이북 고산지대의 볕이 드는 골짜기에서 자라는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그 동안 개구리갓과 혼동되어 왔던 종으로 개구리갓이 주로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데 비해, 왜미나리아재비는 계룡산과 강원도 이북 높은 산지에 자생하며 잎 모양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곰배령 ●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털이 조금 있고 길이 10-25cm이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근 심장 모양으로 길이 2-2.5cm, 폭 2.5cm이고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잎의 중앙 열편은 쐐기 모양이며 측 열편도 2-3갈래로 갈라지고, 모두 결각상 큰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으며 중앙부의 ..

우리 풀꽃 2016.04.26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잎의 갈래가 가늘고 꽃잎이 좁고 긴 점이 눈에 띄는 특징이다. 잎이 2회 3출엽이고 작은잎의 갈래가 가늘고 좁은 털개구리미나리에 비해 잎이 1회 3출엽이고 작은잎의 갈래가 넓은 점으로 구별된다. 열매가 구형으로 열매가 긴 원기둥형인 젓가락나물과 구별되고, 암술대가 곧은 점으로 암술대 끝이 아래로 구부러지는 왜젓가락나물과 구별된다. 대암산 ● 개구리미나리 Ranunculus tachiroei | Longbeak Buttercup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 가지를 치며, 아랫부분에는 퍼진 털이 나고 윗부분에는 누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잎과 줄기 아래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다. 잎몸은 2회 3출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끝이..

우리 풀꽃 2015.08.07

바위미나리아재비(구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바위미나리아재비는 한라산 1000m 이상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 미나리아재비이다. '구름미나리아재비'로 불리기도 하였지만 지금은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다.  미나리아재비에 비해서 작으며 대개 짧은 줄기 끝에 꽃이 하나씩 달린다. 일본산 Ranunculus yakusimensis에 비해 약간 크고 암술대가 없다.    2015. 06. 28. 한라산              바위미나리아재비 열매. 수과로 별사탕 모양의 열매덩이를 이룬다.       ● 바위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crucilobus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는 10cm 내외이고 전체에 갈색 털이 빽빽이 덮고 있다. 왕왕 분지하고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

우리 풀꽃 201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