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디풀과 133

왜개싱아 Aconogonon divaricatum / 싱아속 종 검색표

줄기는 2갈래로 갈라지고 가지가 많은 점, 꽃차례가 빽빽하게 꽃이 많이 달리는 점, 전체에 털이 별로 없는 점 등이 왜개싱아라는 판단에 무게를 더해주는데, 다만 왜개싱아의 개화 시기가 5~6월이라는데 아직도 꽃이 남아 있다는 점이 살짝 걸린다. 그래도 주변의 대부분은 꽃이 진 상태다. 싱아의 개화 시기는 6~8월이다. 싱아와는 달리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강원 평창 ● 왜개싱아 Aconogonon divaricatum / 마디풀목 마디풀과 싱아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없어지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는 털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우리 풀꽃 2007.12.24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처음에는 참소리쟁이일까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뿌리잎이 타원상이고 잎자루가 아주 길며, 줄기잎의 경우에도 잎자루가 비교적 긴 점으로 보아 돌소리쟁이로 동정한다. 돌소리쟁이 줄기가 대개 곧고 당당한 모습이었던 점으로 이것은 줄기가 연약해서 돌소리쟁이로 미처 생각지 못했다. ● 돌소리쟁이 Rumex obtusifolius / 마디풀목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각되있고 중간부터 갈라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연변에 주름이 지며, 뒷면 맥 위에 원주상 돌기모가 있다. 아래쪽 잎과 근생엽은 장 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이고, 엽병은 길며, 길이 20~35cm 정도, 너비 8~15cm 정도의 크기이다. 끝은 둔두 또는 예두이고, 밑은 심장저이다. 줄기잎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엽..

흰꽃여뀌 Persicaria japonica

흰꽃여뀌는 마디풀과 여뀌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습지 주변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하얀 꽃을 단 이삭꽃차례가 활처럼 휘어지며 늘어지며 꽃잎이 활짝 열려 수술을 드러내는 모습이 아름다운 풀이다. 2007. 10. 03. 선유도 ● 흰꽃여뀌 Persicaria japonica | White-flower smartweed ↘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단단하고 마디가 길고 적갈색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바소꼴로 다소 두껍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7-12cm, 폭 1-2cm이다. 가장자리 근처와 뒷면 맥 위에 거센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짧다. 잎집모양의 턱잎은 맥이 있으며 막질이고 끝이 거의 수평하며 부드러..

우리 풀꽃 2007.10.21

왜개싱아 Aconogonon divaricatum, 싱아속 검색표

줄기는 2갈래로 갈라지며 가지가 많고 꽃차례가 빽빽하게 꽃이 많이 달리는 점으로 보아 왜개싱아로 보인다. 정밀하게 살펴보지는 못했지만 전체에 털이 별로 없는 점도 왜개싱아라는 판단에 무게를 더해 준다. 싱아와는 달리 중부 이북의 산지에서 자란다. 2007. 09. 22. 대관령 ● 왜개싱아 Aconogonon divaricatum / 마디풀목 마디풀과 싱아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1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지고,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밑부분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갈수록 없어지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는 털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지만 전체가 큰 원뿔모양의 이삭꽃차례로 달..

우리 풀꽃 2007.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