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균류 1071

송편버섯 = 흰색향조개버섯 Trametes suaveolens

숲속에서 유난히 하얀 색깔로 눈에 잘 띄는 버섯으로 송편처럼 생겼으며 자루가 없다. '흰색향조개버섯'이라고도 한다. 한가위에 먹는 송편을 닮은 버섯이지만 먹어서는 절대로 안 되는 독버섯이다. ↓ 남한산성 버섯의 갓 아랫면 ●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갓은 두툼한 반원형으로서 갓 표면은 비단이나 융털 모양이나 나중에는 다소 밋밋해진다. 색깔은 대백색에서 회백색, 나중에는 담황갈색으로 바뀌고 평탄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동심환구(環構)가 나있음, 갓테두리는 날카롭다. 살은 코르크질이며 두께는 0.5~2cm 정도이다. 관공의 길이는 0.5~1.5cm이고 공구는 둥근모양 또는 모난모양이며 1mm 사이에 1~3개 있다. 봄부터 가울에 걸쳐 활엽수의 고목 ..

버섯, 균류 2009.10.19

독우산광대버섯

매끈한 갓과 살이 하얀 버섯. 독우산광대버섯 같기도 하고 흰달걀버섯 같기도 하다. 흰달걀버섯은 귀해서 만나기도 어렵고 갓 끝 부분 표면에 방사선 주름이 있다니까 더욱 아닌 듯하다. 독우산광대버섯이 마른 상태로 본다.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의 맹독성 버섯으로 북한명은 '학독버섯'이다. ↓ 굴업도 연평산 중턱 ● 독우산광대버섯 Amanita viros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북한명은 학독버섯이다. 여름과 가을에 걸쳐 활엽수림 혼합림 속의 땅 위에서 한 개씩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 전체가 흰색이고, 버섯갓은 지름 6∼15cm이다. 처음에는 원뿔 모양에서 종 모양으로 되고, 나중에 퍼져서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다. 갓 표면은 밋밋하고 습할 때는 끈적끈적하며 건조..

버섯, 균류 2009.10.15

진갈색주름버섯 Agaricus subrutilescens

주름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자갈색의 섬유로 덮여 있다가 인편이 생기고 중앙부는 암갈색이다. 살은 백색에서 자갈색으로 되고, 주름살은 홍색에서 흑갈색으로 되며 떨어진 주름살이다.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으로 설명하고 있는 기재문이 많은데 설사, 구토, 복통 등 증상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4시간 이내에 증상이 감소하다가 수일 내에 회복된다고 한다. 그런데 체험을 바탕으로 식용버섯으로 다룬 글들도 많다. 체질에 따라 심한 위장장애를 일으킬수 있는 독성이 공존하는 버섯이므로 유의해야 한다. ↓ 경남 합천 가회, 들판 쑥대 우거지고 환삼덩굴이 덮은 그늘 속 ● 진갈색주름버섯 Agaricus subrutilescen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갓의 크기는 7~20cm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서 ..

버섯, 균류 2009.09.30

노란젖버섯(Lactarius chrysorheus) 갓의 변화

갓 표면은 황색을 띤 연한 살색인데, 진한 색으로 된 동심원상의 무늬가 있다. 상처를 입으면 주름에서 노란 유액이 나오는 버섯이다. 버섯대 속은 비어 있으며 매운맛이 나지만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 합천 악견산 처음에는 가운데가 오목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약간 깔때기와 같은 모양으로 변한다. 주름 부분에서 유액(젖)이 흘러 나오고 있다. 유액은 흰색이나 공기와 접촉하면 노란색으로 변한다. ● 노란젖버섯 Lactarius chrysorrheus | yellow milkcap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5~9cm로 처음에 가운데가 오목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약간 깔때기와 같은 모양으로 변한다. 갓 표면은 노란색을 띤 연한 살색으로 진한 색의 동심원 무늬가 있다. 주름살은 내린주름..

버섯, 균류 2009.09.21

노란막광대버섯(신알광대버섯) Amanita neoovoidea

갓 표면은 흰색으로 습하면 끈적기가 있고 가루 물질이 덮여 있고, 연한 황토색 외피막 파편이 넓게 붙어 있기도 하다. 가장자리 끝에 흰색의 외피막 잔재물이 너덜너덜하게 붙어 있다. 자루 밑부분은 곤봉형 또는 방추상으로 부풀어 있다. 숲속의 땅에 무리지어 자란다. 식용 불가. ↓ 합천 악견산 ● 노란막광대버섯 Amanita neoovoidea ↘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갓(자실체)의 지름은 7.5~10cm로 조직은 희며,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가 약간 들어가는 것도 있다. 갓의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고 백색의 물질이 있고 , 황토색의 큰 파편이 있고 가장자리에 때때로 파편이 매달린다. 떨어진주름살이고 백~담크림색으로 밀생하며 가장자리는 분상이다...

버섯, 균류 2009.09.21

볏짚두엄에 자란 소녀먹물버섯(Coprinus neolagopus)

볏집을 썩힌 두엄더미에서 자라난 버섯인데, 회색빛 고운 갓이 눈에 띈다. 접사를 하고 보니 맨눈으로는 잘 보이지 않은 털이 갓은 물론 버섯 대에까지 많이 나 있음을 발견한다. 소녀처럼 다소곳한 버섯이라는 뜻인지 이름이 '소녀먹물버섯'이다. 갓이 펼쳐지지 않은 어린 버섯은 갓부분이 원기둥 모양인데 흰색에 가까운 갓에는 털이 보송보소송하여 과연 소녀다운 느낌을 자아낸다. ↓ 합천 가회 ● 소녀먹물버섯 Coprinus neolagop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먹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2~3cm로 처음에 달걀 모양이다가 종형으로 되고 차차 거의 편평해지며 가장자리는 위로 감긴다. 갓 표면은 회색 바탕에 흰색 또는 갈색의 섬유가 덮고 있지만 결국 피막은 소실하고 회색의 바탕색이 나타난다. 가장자리에 방사상의 ..

버섯, 균류 2009.09.21

흰가시광대버섯 Amanita virgineoides

병아리난초와 나란히 자라고 있는 흰가시광대버섯. 일명 '닭다리버섯'이라고도 한다. 식용 버섯이다. ↓ 합천 악견산 ● 흰가시광대버섯 Amanita virgineoides /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9~20cm이고 둥근 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턱받이의 찢어진 조각이 붙어 있다. 갓 표면은 흰색 바탕에 작은 가루가 덮고 있으며 사마귀 점이 높이 3mm의 원뿔 모양으로 많이 나 있다. 살은 흰색이고 건조해지면 불쾌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흰색 또는 크림색이다. 버섯대는 굵기 1.5~2.5cm, 길이 12~22cm이고 밑부분이 불룩하며 속이 비어 있다. 버섯대 표면은 흰색 바탕에 솜털 같은 비늘조각이 붙어 있며 밑부분에 사마귀 점이 고리를 이룬다. 턱받이는 막처..

버섯, 균류 2009.09.21

황금무당버섯(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갓 표면은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기가 있으며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자루는 주름 모양의 세로 선이 있으며, 흰색에서 레몬색으로 변한다. 북한명은 '감빛노란갓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전나무, 잣나무, 혼합림의 땅에 무리지어 자라거나 홀로 흩어져 난다. 참나무에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식용 버섯이다. ↓ 소금강 계곡 ● 황금무당버섯 Russula aurata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갓은 지름 5~9cm로 처음에 만두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편평하게 펴지면서 가운데가 오목해진다. 표면은 혈적색 또는 황적색, 등황색 등이 섞이고, 습하면 끈적끈적하며 주변부에 알맹이모양으로 된 선이 있고 표피는 주변부로부터 잘 벗겨진다. 주름살은 약간 빽빽하고 끝붙은 형이며 처음에는 흰색이나..

버섯, 균류 200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