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미역취(돼지나물) Solidago virga-aurea subsp. asiatica

모산재 2006. 10. 22. 21:48


가을이 저물어 갈 때에도 황금빛 꽃을 활짝 피우며 따스한 기운을 불지피는 꽃,

양지쪽 풀밭이면 여러 개체들이 번갈아 피며 모닥불 앞에 오래오래 앉아 있는 느낌을 주는 꽃...

 

나물로 먹기도 하지만 맛이 썩 좋은 편이 아니어서인지 돼지나물로도 불린다.

 

 














미역취 Solidago virga-aurea subsp. asiatica / 초롱꽃목 국화과 미역취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짙은 자주색이고 잔털이 있으며 높이가 30∼85cm이다. 꽃이 필 때 뿌리에서 나온 잎은 없어진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날개를 가진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지고 폭이 좁아지며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3∼5개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전체가 커다란 꽃이삭을 형성한다. 두상화는 지름이 1.2∼1.4cm이고 가장자리에 암꽃인 설상화가 1열로 배열하고 가운데에 양성화인 관상화가 여러 개 있다. 총포는 통 같은 종 모양이고 포 조각은 4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이고 원통 모양이며 관모는 길이가 3.5mm이다.


* 더 보기 = http://blog.daum.net/kheenn/5103450






미역취속(Solidago) 자생종과 귀화종 : 국가표준식물목록


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asiatica Kitam. ex Hara

산미역취 Solidago virgaurea var. leiocarpa (Benth.) A. Gray : 산방상 이삭꽃차례로 꽃자루는 길이 3~6mm이다.

나래미역취 Solidago virgaurea var. coreana Nakai : 꽃부리가 길이 5mm, 나비 1.5mm정도이고 머리모양꽃차례가 밀착한다.

울릉미역취 Solidago virgaurea subsp. gigantea (Nakai) Kitam. : 머리모양꽃차례는 지름 12-15mm로서 원추상으로 달린다. 울릉도


<귀화종>

양미역취 Solidago altissima L.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Aiton



 => 하지만 아래 논문에 따르면,

미역취와 울릉미역취만 인정.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형질들은 미역취의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음



<미역취 및 근연분류군(국화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 장창석, 양선규, 오병운. 식물분류학회지 42권1호, 2012년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S. virgaurea complex)에는 미역취(S. virgaurea subsp. asiatica), 잔미역취(S. virgaurea var. taquetii), 나래미역취(S. virgaurea var. coreana), 산미역취(S. virgaurea subsp. leiocarpa), 울릉미역취(S. virgaurea subsp. gigantea) 등 5가지의 종하분류군이 보고되고 있으나, 분류군의 실체 및 한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기재문과 기준표본을 바탕으로 국내의 9개 자생지 집단을 조사하여 미역취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고, 동북아산 미역취 복합체의 실체 확인 및 분류학적 처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문헌 및 표본 관찰을 통해 동아시아산 미역취속의 분포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미역취는 유럽산 미역취(S. virgaurea L.)와 명확히 구분되는 독립된 종(S. japonica Kitam.)으로 인정되었으며, 울릉도를 제외한 한반도 전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잔미역취와 나래미역취의 검색형질들은 미역취의 해당 형질 변이 폭 내에 포함되므로 모두 미역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산미역취는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0) 2006.10.25
꽃향유 Elsholtzia splendens   (0) 2006.10.23
미꾸리낚시 Persicaria sieboldi  (0) 2006.10.22
산부추 Allium thunbergii   (0) 2006.10.22
개싸리 열매 Lespedeza tomentosa  (0) 2006.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