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와 씨앗

왜우산풀(누룩치) 열매 Pleurospermum camtschaticum

모산재 2006. 8. 10. 20:20

 

고산지대의 양지에서 자라는 산형과 왜우산풀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키가 크고 잎 갈래가 뾰족하고 줄기 윗부분에 크게 발달한 꽃차례가 특징이 있다. 


연한 잎과 줄기에 독특한 누린 향이 있으나 특유한 향과 맛이 있어 식용하기도 한다.





 

 

 

왜우산풀(누룩치) Pleurospermum camtschaticum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로 줄기는 속이 비어 있으며 전체에 털이 없다. 원줄기 윗부분에서 굵고 짧은 가지가 나오며 뿌리가 굵다. 뿌리에 달린 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고 넓은 달걀 모양 삼각형이며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으로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길이는 20∼40cm이다. 맥 위와 가장자리에는 잔 돌기가 있으며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피고 흰색이며 원줄기 끝이나 가지 끝의 복산형꽃차례에 달리는데, 원줄기 끝의 꽃이삭이 가장 크다. 총포와 작은총포는 여러 개이고 잎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희다.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분열과로 달걀 모양이다.

 

 


☞ 속명 Pleurospermum은 그리스어 pleura(갈비뼈, 肋)와 sperma(종자, 種子)의 합성어로 분과의 배면에 3개의 현저한 능선이 있어서 유래한 이름이고 종명은 캄차카 지역에서 관찰되어 유래한 이름이다.



☞ 왜우산풀 더 보기 => http://blog.daum.net/kheenn/15858094   http://blog.daum.net/kheenn/15858110   http://blog.daum.net/kheenn/1585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