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 식물

봄망초, 주걱개망초, 민망초

모산재 2006. 6. 29. 19:49

 

▶ 민망초일까? 주걱개망초일까?

 


흔히 보는 개망초와는 분위기가 꽤 다르다.

꽃색은 개망초와 별 다름없이 연둣빛이 살짝 감도는데

 


 

 

뿌리잎이나 줄기잎 모두 톱니(거치)가 거의 보이지 않고 매끈한 모습이다.

 





전초 모습은 이러하다.


 

 

이렇게 잎에 톱니가 거의 없는 망초로는 민망초와 주걱개망초가 있는데

민망초는 금강산 이북에 자라고 개화시기를 8~9월로 기록하고 있다.

 

이 개망초류는 6월 초순에 피기 시작했으니 민망초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 주걱개망초는?

개화기가 7월과 6월,

북미 원산으로 한강 고수부지 등 경기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니

이 개망초류와 잘 부합되는 되는 것으로 보아 주걱개망초가 확실한 듯하다.

 

 


▶ 봄망초와 비교해보니...

 


함께 핀 봄망초는 설상화가 약간 붉은 빛이 감도는데,

 

 

 

윗부분의 줄기잎은 톱니가 거의 보이지 않지만, 뿌리잎쪽으로 가까워지면 톱니가 뚜렷해진다.

개망초 식구들의 일반적인 잎 모양에 가깝다. 


 

 

 

위의 봄망초를 한번에 잡은 전초 모습

 

 

 

좀더 가까이에서 본 봄망초 잎 모양

 

 

 

마침 나란히 자란 개망초와 이 특별한 개망초(주걱개망초)가 있어 사진에 담아 보았다.

왼쪽의 봄망초와 오른쪽 주걱개망초의 줄기와 잎 모양이 확실히 다르다.

 

 



이번엔 꽃을 비교해 보면...

 


봄망초 꽃

 


 

주걱개망초 꽃



 

 

뿌리잎을 비교해 보면...

 


봄망초




주걱개망초

 



일반적인 개망초 잎

 

 

 

 

▶ 민망초와 주걱개망초의 표본이미지 비교

 


민망초

 

마우스를 누르면 창이 닫힙니다.

 

 

민망초 Erigeron acris L.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근생엽은 개화시 거의 없어지며 주걱형이고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밑부분의 잎은 도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며 길이 3.5-6.5cm, 나비 6-12m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다소 있거나 없다. 중앙부의 잎은 선상 긴 타원형이며 길이 3-6㎝,나비 4-16㎜로서 가장자리가 흔히 밋밋하고 윗부분의 잎은 선형이다. 높이 15-9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산방상으로 퍼진다.

 

두화는 백색이고 줄기 끝에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17mm이고 꽃이 필 때의 화경은 길이 1.5-5cm이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6-9mm, 지름 14-20mm이며 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수과는 편평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2-2.5mm로서 가장자리에 능선이 있고 관모는 길이 4-6mm로서 오백색(汚白色)이거나 붉은빛이 돈다.

 

금강산 이북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주걱개망초

 

마우스를 누르면 창이 닫힙니다.

 

 

주걱개망초 Erigeron strigosus Muhl. | Daisy Fleabane, Tall Fleabane / 국화과의 월년초

 

경생엽은 상반부가 폭이 넓은 주걱형으로 전연이고 5-6㎜의 짧은 잎자루가 있다.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도피침형이고 대개 전연(全緣)이며 드물게 얕은 거치연이다. 줄기에 상방으로 굽은 짧은 털이 덮힌다. 줄기잎은 5-6㎜길이의 잎자루가 있고 주걱모양으로 끝이 넓으며 기부는 쐐기꼴을 한다. 높이 30-100㎝이다.

 

두화(頭花)는 지름 1.5㎝이고 설상화(舌狀花)는 120개 내외로 백색이다. 관모(冠毛)는 흔적적(痕跡的)이며 통상화(筒狀花)는 황색이고 긴 관모가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일본에 분포. 경기도 서해안의 대부도, 여주, 서울의 한강 고수부지에서 발견되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봄망초 => http://blog.daum.net/kheenn/8394056  

☞주걱개망초 => http://blog.daum.net/kheenn/14926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