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무

큰낭아초(狼牙草) Indigofera amblyantha

모산재 2006. 6. 10. 19:01


낭아초(狼牙草)는 콩과 땅비싸리속의 반관목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난 꽃차례가 이리의 이빨(狼牙)을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제주도나 동해변에서 자생한다. 바닥을 기는 풀처럼 한 뼘 정도 자라기도 하고 다 자라야 30~60cm 정도로 작은 풀 같은 관목이다.


아래의 낭아초는 소엽이 5~9개인 것으로 보아 중국 도입종인 큰낭아초(Indigofera amblyantha)로 보인다. 키가 2m까지 자라는 큰낭아초는 절개지 녹화를 위해 중국에서 들여온 종으로 귀화하여 전국의 길가나 공원 언저리에 자생하고 있다.




양재천변








 



낭아초(狼牙草) Indigofera pseudo-tinctoria  / 장미목 콩과 땅비싸리속 낙엽활엽 반관목

 

높이 30 ~ 60cm.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고 일년생가지는 복모가 있으며 가늘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소엽은 7 ~ 11개로 타원형이며 길이와 폭은 각 5 ~ 8cm× 3 ~ 5cm이고 뒷면은 털이 있으며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 끝이 둥글다.


꽃은 5 ~ 8월에 개화하고 총상꽃차례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는 10 ~ 13mm로 백색이다. 포는 작고 꽃받침조각은 길이가 2.5 ~ 3mm로, 5개의 톱니와 더불어 잔털이 있다. 협과는 핵과처럼 되며 타원형이며 검은색이고 길이 3 ~ 4mm의 대와 더불어 길이 18 ~ 20mm, 지름 10mm와, 5 ~ 6개의 종자가 있으며 9월 ~ 10월에 성숙한다.


큰낭아초 Indigofera amblyantha / 콩과 땅비싸리속의 관목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0.8-2m로 다소 가지가 난다. 줄기는 갈색빛이 나고 흰털이 밀생한다. 잎은 깃꼴겹잎으로 길이는 18cm 잎자루는 2-5cm이며 턱잎은 1.5mmfh 아주 작으며 삼각상피침형이다. 작은잎은 3-5쌍으로 마주나고 난상타원형이며 길이는1-3.7cm 너비 1-2 cm이며 끝은 둥글고 소첨두이며 잎밑은 쐐기형이다. 잎 윗면은 녹색 아랫면은 흰빛을 띤 푸른빛이며 측맥4-6쌍이다.

 

꽃은 5~7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길이는 11cm 정도이고 포편은 선형으로 2mm이나 일찍 떨어진다. 꽃자루는1.5mm이고 꽃받침의 길이는 3.5mm 정도이다. 꽃부리는 담홍색으로 길이는 6-6.5mm 이며 씨방은 선형으로 털로 덮여 있다. 열매는 협과로 갈색이며 줄모양의 원기둥형으로 길이는3.5-6 cm, 종자는 갈색으로 긴원형으로 길이 2.5mm이다. <중국식물지 발췌>

 

 

 

* 낭아초 => http://blog.daum.net/kheenn/12049817

 

 

    


   ※ 땅비싸리속(Indigofera) 관목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흰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f. albiflora Uyeki

큰땅비싸리(이명) Indigofera kirilowii var. coreana Craib

민땅비싸리 Indigofera koreana Ohwi

큰꽃땅비싸리 Indigofera grandiflora B.H.Choi

<재배종>흰꽃땅비싸리 Indigofera decora var. alba


낭아초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 : 30~60cm. 소엽 7-11개.

<재배종>히말라야낭아초 Indigofera heterantha Brandis : 티베트 북서 히말라야. 1–3 m. 소엽 13-25개. 꽃차례 짧고 꽃이 크다.

큰낭아초 Indigofera amblyantha Craib : 중국 안휘~허난. 0.8-2 m. 소엽 5-9개.


 ※ 장미과의 초본

 좀낭아초(검정풀매화) Chamaerhodos erecta : 함경북도에 분포하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검은낭아초 Potentilla palustris : 북부지방 습지에 자라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