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균류

담황색주름버섯 Agaricus silvicola

모산재 2023. 7. 22. 20:55

 

낮은 산등성이 등산로 옆 숲에서 만난 담황색주름버섯, 갓이 펼쳐지지 않은 모습이 아주 당당한데, 주름살도 내피막이 가리고 있어 발생한 지 얼마되지 않은 싱싱한 버섯임을 알 수 있다. 육안으로는 갓이 녹황색빛으로 느껴졌는데 사진상으로는 녹색빛 느낌이 덜하다. 자루의 변색은 미미한 편이다. 등색주름버섯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경험 많은 분의 견해에 따르기로 한다.  

 

여름~가을 침엽수, 활엽수,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7. 19.  서울

 

 

 

 

 

 

 

● 담황색주름버섯 Agaricus silvicola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2.5cm로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돌출된다. 표면은 마르고 매끈하며 유백색, 회백색 또는 연한 황색이고 중앙은 가끔 다갈색이다. 섬유상의 털이 압착되어 있으며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가끔 피막의 잔편이 붙어 있다. 살은 약간 두껍고 백색이며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된다.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떨어진 주름살로 밀생하며 폭이 좁고 길이가 같지 않다. 처음에는 백색이고 이후 연분홍색이 되었다가 갈색을 거쳐 자갈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6~12cm, 굵기는 0.6~1.2cm로 위쪽으로 가늘어지며 기부는 구경상으로 부풀고 백색에서 황갈색으로 되며 상처를 받으면 황색으로 된다. 턱받이는 상위이며 막질로 상면은 백색이고 하면은 솜털상이며 대형이고 탈락하기 쉽다.

포자의 크기는 6.5~7×3.5~4μm로 타원형이고 자갈색이며 표면은 매끄럽다. 4-포자성이다. 연낭상체는 난형 또는 서양배 모양이고 폭은 15~20μm이다. 포자문은 암갈색이다.  - 조덕현, <한국의 균류 2>, 2017.

 

 

 

☞ 담황색주름버섯 => 물방울 무늬 Agaricus sivicola (tistory.com)  https://kheenn.tistory.com/15860905  https://kheenn.tistory.com/15860861 

☞ 등색주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