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황록선운족도리풀(개족도리풀) Asarum sonunsanense var. viriluteolum

모산재 2019. 5. 8. 23:44

 

서산의 어느 산에서 만난 족도리풀. 황록선운족도리풀로 알려진 것인데, 잎에 무늬가 없고 꽃받침 갈래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은 모양이 얼핏 금오족도리풀을 연상시킨다.

 

이영노 선생이 개족도리풀에 비해 잎과 꽃이 크고 꽃받침 갈래조각이 뾰족한 점으로 선운족도리풀(Asarum sonunsanense)이라 명명하고, 다시 꽃받침통이 황록색인 것을 '황록선운족도리풀(var. viriluteolum)이라 명명하였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이명으로조차도 등록되지 않은 상태인데, 족도리풀의 품종(A. sieboldii for. sonunsanense)으로 보기도 하고(2008, 소순구, 김무열), 개족도리풀의 이명(A. maculatum)으로 보기도 한다. (2008, 오병운)

 

 

 

 

2019. 05. 05. 충남

 

 

 

 

 

 

 

 

 

 

 

 

 

 

 

 

 

 

 

 

색 변이가 없는 선운족도리풀

 

 

 

 

 

 

잎에 무늬가 있는 것으로 개족도리풀과 무늬족도리풀이 있는데 선운족도리풀은 변이가 심해서 무늬가 있기도 하고 무늬가 없기도 하고 또 자주색잎을 띠기도 하며 같은 장소에서 여러가지 모습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개족도리풀은 잎이 두꺼운 혁질이고 광택이 있으며 꽃이 핀 후 잎이 자라지 않는데, 선운족도리풀은 잎이 얇고 크게 자란다.

 

선운족도리풀을 7종으로 나누는데,

선운족도리풀, 자주선운족도리풀, 황록선운족도리풀을 기본으로

잎에 무늬가 있는 것을 각각 무늬선운족도리풀, 무늬자주선운족도리풀, 무늬황록선운족도리풀, 노란 화통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 잡선운족도리풀(Asarum Intermedium) 등으로 세분된다.

 

 

 

 

 

 

※ 족도리풀속(Asarum) 자생종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영종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f. viride Y.N.Lee => 만주족도리풀

   뿔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cornutum Y.N.Lee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만주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금오족도리풀 Asarum patens (K.Yamaki) B.U.Oh : 화주 돌기 길이가 길어 결실기에 화통 밖으로 돌출

자주족도리풀 Asarum koreanum (J.Kim & C.Yook) B.U.Oh & J.K.Kim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K.Yamaki) Y.N.Lee

   민무늬족도리풀(이명) Asarum versicolor var. non-versicolor Y.N.Lee

   각시족도리풀 Asarum glabrata (C.S.Yook & J.G.Kim) B.U.Oh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Nakai

   청개족도리(이명) Asarum maculatum f. viride Y.N.Lee : 꽃은 연두색이면서 갈색 반점이 있다.

 

 

※ 족도리풀속(Asarum) 검색표

       - 오병운 <한국산 족도리풀속의 분류학적 재검토> 식물분류학회지 38권3호. 2008.

          ☞ 만주족도리풀+서울족도리풀 => 털족도리풀(Asarum mandchuricum)로 통합함

- 각시족도리풀 (이명: 반들족도리풀)

- 자주족도리풀

- 개족도리풀 (이명: 개족도리, 개족두리풀, 섬세신, 섬족도리, 섬족도리풀, 섬족두리풀, 알락족두리풀, 알록세신, 청개족도리, 민개족도리, 선운족도리풀, 잡선운족도리풀, 무늬선운족도리풀, 황록선운족도리풀, 무늬황록선운족도리풀)

- 털족도리풀 (이명: 만주족도리풀, 서울족도리풀, 족두리풀, 족도리풀, 세신, 한성세신, 민족도리풀, 조리풀, 영종족도리풀)

- 금오족도리풀

- 족도리풀 (이명: 민세신, 민족도리풀, 민족두리풀, 세신, 조리풀, 족도리, 족두리, 족두리풀, 화세신, 황록족도리풀, 뿔족도리풀)

- 무늬족도리풀 (이명: 민무늬족도리풀)

 

 

1. 잎은 자주색이다.악편의 가장자리의 선단은 파상형이거나 심하게 뒤로 말려 선단부가 원추형으로 된다. ···················→ 자주족도리풀 A. koreanum

1. 잎은 녹색이다. 악편은 편평하거나 선단부가 뒤틀려서 뾰족해지거나, 또는 전체가 악통 쪽으로 젖혀진다.

   2. 악편은 가장자리가 약간 파상이거나 또는 선단부가 뾰족해져, 전방으로 휘며 악통과 닿지 않는다.

      3. 잎에 흰색 반점이 나타나지 않는다.

         4. 악편은 삼각상 난형으로 폭보다 길이가 짧고, 선단부가 비틀려서 뾰족해지며흔히 전방으로 휜다. ····················→ 족도리풀 A, sieblodii

         4. 악편은 타원형으로 폭보다 길이가 길고, 선단부가 편평하여 뾰족해지지 않으며 전방으로 휘지도 않는다. ···→ 금오족도리풀 A. patens

      3. 잎에 흰색 반점이 나타난다.

         5. 잎은 두껍고, 짙은 녹색이며 표면에 흔히 뚜렷한 백색 반점이 있으며 간혹 없는 것도 있다.

          꽃은 흔히 짙은 자주색 또는 드물게 연두색이나 노란색이다. 악통은 길이 0.8-1.3cm, 폭 1.0-1.6cm이다.

          남부지방(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의 산지에 난다. ····················································································→ 개족도리풀 A. maculatum

         5. 잎은 짧고 , 밝은 녹색이며 표면에 희미한 백색 반점이 있으며 , 간혹 없는 것도 있다.

          꽃은 녹자색, 갈자색 또는 흑자색이며 흔히 표면에 미세한 흰색 반점이 있다. 악통은 길이 0.9-1.3cm, 폭 0.7-0.9cm이다,

          중부와 남부지방(경기,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의 산지의 계곡 주변에 난다. ······································→ 무늬족도리풀 A. versicolor

   2. 악편은 편평하고 전체가 바깥으로 젖혀지며 둥글게 악통 쪽으로 반곡하거나 악편 전체가 악통에 밀착한다.

      6. 악편은 전체가 둥글게 반곡하여 선단이 악통 쪽으로 둥글게 굽거나 악통과 닿으며 악통은 길이 1.3-2.2cm, 폭 1.2-1.7cm이다.

       흔히 잎 전체에 털이 많다. 북부와 중부 지방에 난다. ··························································································→ 털족도리풀 A. mandshuricum

      6. 악편은 전체가 화통에 밀착하며. 악통은 길이 1.0-1.5cm, 폭 1.2-1.5cm 이다.

       잎 이면과 엽병에는 털이 털이 없다. 중부와 남부 지방에 난다. ·········································································→ 각시족도리풀 A. misandr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