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모산재 2007. 6. 14. 22:21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띠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봄날 피지 않은 띠의 꽃이삭을 삘기(사투리로는 삐삐)라 하는데 여린 속살이 달아서 옛날 시골 아이들은 한 웅큼씩 삘기를 봅아들고 까서 먹기도 하였다.

 

 

 

대모산 2007. 06. 06 

 

 

 

 

 

 

 

 

 

띠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 cogongrass /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 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집이 된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 모양의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가 10∼20cm이고 은백색의 긴 털로 덮인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 모양이고 길이가 3.5∼4.5mm이며 밑 부분이 길이 12mm의 긴 털에 둘러싸이고 자루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쌍을 이루며 마주난다.

 

포영(苞穎:작은이삭의 밑에 난 한 쌍의 포)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맥이 약간 있으며, 호영(護穎:화본과 식물 꽃의 맨 밑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퇴화하여 매우 작은 비늘 조각으로 된다. 까끄라기는 없다. 수술은 2개이고 길이가 2.5∼3mm이다.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며 짙은 보라색이다.

 

 

 

 

한방에서 뿌리줄기를 백모근(白茅根)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보게 하며 황달에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한다. 잎은 지붕을 덮거나 도롱이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 띠풀의 가을 모습 => http://blog.daum.net/kheenn/10001571

 

'벼과 사초과 골풀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보리 Elymus sibiricus  (0) 2007.07.29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0) 2007.06.29
도랭이피  (0) 2007.06.01
오대산새밥 Luzula odaesanesis  (0) 2007.05.23
참뚝사초/북사초, 털사초  (0) 200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