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두서니과 호자덩굴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같은 꼭두서니과 상록 관목인 호자나무(Damnacanthus indicus)와 꽃 모양이 매우 유사하다. 꽃이 지고난 뒤 붉게 익은 열매는 겨울까지 남아 아름다운 풍경을 만든다. 중국 이름은 '덩굴 호자'라는 뜻의 '蔓虎刺'(만호자).
안면도, 전남 다도해 주변지역, 울릉도, 제주도 숲 속에 비교적 드물게 자란다. 일본, 중국 남부에 분포한다.
2018. 06. 10. 안면도
호자덩굴 암꽃
호자덩굴 수꽃
● 호자덩굴 Mitchella undulata | Asian mitchella ↘ 목련강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호자덩굴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5㎝ 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털이 없고 줄기가 땅을 기며 가지가 갈라지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질이 두터우며 삼각상 달걀 모양이고 길이 1~1.5㎝, 폭 7~12㎜로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며 밑부분이 둥글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다소 물결 모양으로 되고 짙은 녹색이며 엽병은 길이 2~5㎜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백색 바탕에 연한 붉은빛이 돌며 가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이 짧으며 꽃자루가 없다. 꽃부리는 지름 약 8㎜, 길이 약 1.5㎝로서 판통이 길고 끝이 4개로 갈라지며 2개가 나란히 위를 향해 줄기 끝에 달리고 안쪽에 털이 있다. 씨방은 2개가 합쳐지며 수술은 4개이고 암술대는 1개로서 끝이 4개로 갈라진다. 장과는 둥글며 10~3월에 적색으로 익고 지름 약 8㎜로서 끝에 2개의 꽃이 달렸던 자리와 각각 4개의 꽃받침 조각이 남아 있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 참고 자료 : efloras.org/id=242332827 gbif.org/species/5338766
☞ 호자나무 => https://kheenn.tistory.com/15864806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잔개자리 Medicago lupulina (0) | 2025.07.14 |
---|---|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1) | 2025.07.13 |
비비추난초 Tipularia japonica (0) | 2025.07.11 |
가는장대 Dontostemon dentatus (1) | 2025.07.11 |
원지(遠志) Polygala tenuifolia, 꽃과 열매 (2)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