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정보 자료

메꽃과 메꽃속(Calystegia) 검색표

모산재 2020. 1. 6. 17:50

 

※ 메꽃과 메꽃속 자생종

큰메꽃 Calystegia sepium (L.) R.Br. for. sepium : 잎끝이 뾰족하다. 잎자루, 꽃자루가 길다.꽃이 흰 색에 가깝다.

흰큰메꽃 Calystegia sepium f. album Y.N.Lee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흰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a f. albiflora (Makino) Yamazaki

선메꽃(털메꽃) Calystegia dahuricus (Herb.) Choisy : 즐기에 털이 있다.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Wall. : 꽃자루에 날개가 있다.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 메꽃속(Calystegia) 검색표 :<이상태 검색집>

 

1. 줄기는 덩굴성. 줄기와 잎에 무모. 잎은 신원형 또는 3각상 심장형-3각상 피침형, 심장저-화살저(箭底)

2. 잎은 콩팥 모양 원형 ------------------------------------------------------------------------- 1. 갯메꽃

2. 잎은 3각상 심장형-3각상 피침형.

3. 잎은 3각상 난형-장난형, 기부는 2번 얕게 결각이 진다.

4. 苞는 꽃받침보다 길다(1-2cm). 화경 상단에 날개가 있다. 화관은 길이 3.5cm 이하 ----------- 2. 애기메꽃

4. 포는 꽃받침보다 다소 작다(2-2.5cm). 화경 상단에 날개가 없다. 화관은 길이 3.5cm 이상 ------- 3. 큰메꽃

3. 잎은 3각상 장타원형, 기부는 뾰죽하다. ----------------------------------------------------- 4. 메꽃

1. 줄기는 비스듬히 서거나 곧추 선다.(경생-직립). 줄기와 잎에 유모. 잎은 3각상 피침형, 이저(耳底) ---------- 5. 선메꽃

 

 

※ 김윤식*최병희<한국산 메꽃속의 염색체수, 외부형태 및 해부학적 연구>(1983. V.13-2)

 

1. 잎은 두껍고 신원형으로 엽신의 길이가 폭보다 짧다.-----------------갯메꽃

1. 잎은 얇고, 피침형 내지 삼각형으로 엽신의 길이가 폭보다 길다.

2. 줄기는 다소 곧게 서며, 줄기에 짧은 털이 있고, 잎은 피침형이다.-----선메꽃

2. 줄기는 덩굴성이며, 줄기에 털이 없고, 잎은 피침형 내지 삼각형이다.

3. 잎의 곁 열편이 길게 나오고, 화경 상단에 뚜렷한 날개가 달리며, 화관의 길이는 3.5cm이하이다.-------------애기메꽃

3. 잎의 곁 열편은 비스듬하게 뒤쪽으로 펴지고 , 화경 상단에 날개가 뚜렷하지 않으며, 화관의 길이는 3.5cm 이상이다.

4. 잎은 좁은 긴 타원형 내지 넓은 타원형으로 잎끝은 둔두 내지 미요두이다.---------------------------------메꽃

4.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형으로 잎끝은 둔두이다.--------------------------------------------------큰메꽃

 

 

※ Genera of Korea vascular plant

 

1. 잎이 혁질이고 신장형, 둔두또는 원두, 심장저 .............................................. C. Soldanella(갯메꽃)

1. 잎이 막질이고 삼각형, 에두, 전저(화살촉모양)

2. 전체에 털이 많다. 줄기는 덩굴성이거나 약간 직립한다. ............................. C. dahurica(선메꽃)

2. 전체적으로 털이 거의 없다. 줄기는 포복성이거나 감아올라간다.

3. 잎이 삼각상 난형, 길이 2-6cm, 기부가 이중결각, 결각이 크고 화관은 직경이 3-4cm ............... C. hederacea(애기메꽃)

3. 잎은 삼각상, 난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 길이 5-15cm, 심장저 또는 극저, 화관의 직경은 5-6cm .......C. Sepium

4. 중열편이 삼각상 난형, 일반적으로 예두. .............................. var. sepium(큰메꽃)

4. 중열편이 좁은 난형 또는 타원형, 둔두. ................................. var. japonica(메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