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냉이 Capsella bursa-pastoris

모산재 2014. 4. 6. 00:02

 

최근 분류체계에 따르면 풍접초목 십자화과 냉이속이며 여러해살이풀이다. 린네에 의해 말냉이속(Thlaspi)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나, 납작한 각과의 열매에 날개가 달려 있지 않는 특징으로 냉이속으로 독립되었다.


냉이속은 세계적으로 3종뿐이며, 냉이는 유일한 자생종이다.




 

 

 

 


 

 

 

 


냉이 Capsella bursa-pastorisShepherd’s purse / 양귀비목 십자화과 냉이속


높이 10-50cm이고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 상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땅속에 원뿌리가 자라며, 뿌리는 맛이 달다. 근생엽은 많이 돋아서 지면에 퍼지며 엽병이 있고 두대우열(頭大羽裂)되며 길이 10cm이상이고 열편은 좁고 길며 유이편(有耳片) 또는 뭉뚝한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위로 갈수록 작아져서 엽병이 없어지며 피침형 이저로서 원줄기를 반 정도 감싸고 가장자리가 근생엽과 마찬가지로 갈라지지만 위로 가면서 큰 치아상으로 된다.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백색의 십자모양꽃부리가 많이 달려 총상꽃차례를 형성하며 화경이 있다. 꽃부리는 소형이며 꽃받침조각은 4개로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mm 정도이다. 꽃잎도 4개이며 거꿀달걀모양으로서 길이 2-2.5mm이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편평한 도삼각형이며 길이 6-7mm, 폭 5-6mm로서 요두이고 털이 없으며 종자가 20~25개 들어 있고 종자는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 0.8mm정도이다. 종자를 제(齊)라 한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냉이 => http://blog.daum.net/kheenn/7625869   http://blog.daum.net/kheenn/14253277

☞ 말냉이 => http://blog.daum.net/kheenn/15855266   http://blog.daum.net/kheenn/7905722   http://blog.daum.net/kheenn/7806777




※ 냉이의 효능 : 냉이는 비타민 B1, A, C가 풍부해 겨울동안 부족했던 비타민을 보충해 주며 피로회복 및 춘곤증에 좋다. 또한 칼슘과 철분 역시 풍부해 지혈과 산후출혈 등을 처방하는 약재로 사용되며, 간과 눈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냉이로 국을 끓여 먹으면 피를 간에 운반해 주고, 눈을 맑게 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 냉이는 속씨식물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분포역이 넓은 다섯 식물에 속한다. 다른 네 식물은 마디풀과의 마디풀(Polygonum aviculare), 석죽과의 별꽃(Stellaria media), 명아주과의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그리고 벼과의 새포아풀(Poa annua)이다.


냉이속에는 전 세계에 3종이 있다. 냉이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데 나머지 2종은 유럽의 일부 지역에 분포하며 염색체가 16개로 2배체이다. 반면, 냉이는 염색체가 32로 4배체이다.


☞ 냉이의 영명 : 'hepherd's purse(양치기 지갑) 또는 mother's heart(어머니 마음)'

'shepherd's purse'는 납작한 세모꼴의 냉이 열매 모양이 양치기들이 허리춤에 차고 다니던 주머니와 비슷하게 생겨서 붙여진 이름이다. 'mother's heart'는 냉이가 겨울을 견디는 모습이 모성을 닮아서 생긴 이름으로 보인다.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방망이 새순  (0) 2014.04.23
별꽃 Stellaria media   (0) 2014.04.06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0) 2014.04.05
천마산 노루귀  (0) 2014.03.29
천마산의 만주바람꽃  (0) 201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