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매와 씨앗

왕머루 열매 Vitis amurensis / 머루속 7종, 개머루속 5종

모산재 2009. 9. 11. 22:08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고려가요 '청산별곡' 제 1장에서 나오는 머루는 다래와 더불어 야생 열매를 대표하는 목본성 덩굴식물이다. 포도에 비해서는 작은 열매이지만 포도가 널리 재배되기 이전에는 신맛이 나는 독특한 맛으로 시골 아이들이 즐겨 따먹는 과실이기도 하였다. 술을 담아 먹기도 한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덤불 숲을 만든다.

 

이 땅에 자생하는 머루의 종류도 10여 가지나 되는데, 열매를 먹는 머루로는 머루 외에도 까마귀머루· 청까마귀머루· 새머루· 털새머루· 섬머루· 왕머루 등이 있고, 열매를 먹지 않는 개머루 종류로는 개머루· 털개머루· 가새잎개머루· 자주개머루 등이 있다.

 

 

 

 

↓ 평창 진부

 

 

 

 

 

 

 

  

 

 

 

 

 

 

● 왕머루 Vitis amurensis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의 낙엽활엽 덩굴나무

길이가 1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나무껍질은 암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에 털이 있고 열편 가장자리에 작은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잎은 붉게 단풍이 든다.

원뿔모양꽃차례는 잎과 마주 달리며 화경 밑부분에서 흔히 덩굴손이 발달하고 꽃은 6월에 황록색의 꽃이 핀다. 꽃받침은 바퀴모양이며 꽃잎은 5개가 끝부분에서 합쳐지고 밑부분이 갈라져 꽃턱에서 떨어지며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 사이에 꿀샘이 있다.장과는 송이로 되어 아래로 처지며 지름 8mm로서 9월에 흑색으로 익고 2-3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국립수목원 식물도감>

 

 

 

 

 

머루(Vitis coignetiae)와 왕머루(Vitis amurensis)는 줄기의 크기나 잎 모양 등 외형상 비슷한데, 왕머루가 잎 뒷면에 털이 없는 데 비해 머루는 잎 뒷면 전체에 적갈색 털이 있는 점으로 뚜렷이 구분된다고 한다. 머루는 분포지가 제한적이어서 만나기 쉽지 않고 왕머루는 머루 중 가장 분포지가 넓은 편이다. 

 

 

 

 

 

※ 포도과 머루 종류

 

▶ 포도속=머루속(Vitis) : 원추꽃차례. 검은 열매

 

머루(Vitis coignetiae) :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한다.

   섬머루(Vitis coignetiae for. glabrescens) : 잎 뒷면에 적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떨어지고, 울릉도에서 자란다.

왕머루(Vitis amurensis) : 잎의 뒷면에 털이 없다.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 var. sinuata) : 잎이 둥글고 3∼5개로 갈라진다.

   청까마귀머루 (Vitis ficifolia for. glabrata) : 잎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있다.

새머루(Vitis flexuosa) : 잎이 삼각 달걀 모양이거나 동그란 달걀 모양이다.

   털새머루(Vitis flexuosa var. choii) : 잎은 난원형이고 양면에 드물게 면모가 있으며, 제주도 및 안동에서 자란다.

  

▶ 개머루속(Ampelopsis) : 취산꽃차례. 벽색 열매

  

개머루(Ampelopsis heterophylla) : 돌머루라고도 하며 잎이 깊게 갈라지지 않는다.

털개머루(Ampelopsis brevipedunculata for. ciliata) : 어린가지와 엽병 및 잎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자주개머루(Ampelopsis brevipedunculata for. elegans) : 잎에 백색 반점이 있고 엽병과 어린 줄기가 자주색이다.

가새잎개머루(Ampelopsis brevipedunculata for. citrulloides) : 잎이 깊게 5개로 갈라진다.

가회톱(Ampelopsis japonica) : 덩이뿌리가 있다. 황해도 이북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