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변 연길>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연길의 호텔 근처 풀밭에서 애기메꽃을 만난다. 애기메꽃이 만주에까지 분포한다는 걸 확인한다. 메꽃속으로는 전체적으로 작고 꽃은 흰빛이 강하며 꽃자루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는 특징이 뚜렷하다. 중국 이름은 '打碗花'(타완화).
우리나라 전역 저지대 들판, 경작지를 비롯한 황무지 및 풀밭에 나며 인도, 네팔, 미얀마, 중앙아시아, 몽골, 중국 전역, 일본, 러시아 극동지역, 북니 동부에 분포한다.
2025. 06. 03. 연길 공원
●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 Ivy morning glory ↘ 목련강 국화아강 가지목 메꽃과 메꽃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가늘고, 흰색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다른 물체를 감고,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길이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긴 난형, 4~6cm, 폭 3~6cm, 밑이 심장형 또는 원형, 가장자리가 3~7개로 크게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긴 꽃자루에 1개씩 피며,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 깔때기 모양, 지름 2~3cm이다. 꽃자루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싸개잎은 2장, 삼각상 난형, 길이 1~2cm,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은 5갈래다. 꽃부리는 길이 3~4cm이다. 수술은 5개, 꽃부리 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암술대는 수술대보다 길다. 열매는 삭과, 둥글고, 지름 8~10mm이며, 8~9월에 익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전초 또는 뿌리줄기를 '면근등(面根藤)'이라 하며 임질병, 백대, 월경불순, 비허소화불량, 대소변불리, 당뇨, 타박상, 감적(疳積 : 비위 기능장애로 여위는 증상), 어린이 토유증 등의 치료에 쓰며 꽃을 치통에 쓴다. 뿌리줄기는 lactone 성분의 columbin, palmatine을 함유한다. 잎과 꽃은 trifolin을 함유한다.
※ 참고 자료 : efloras.org/id=200018796 powo.science.kew.org/265660-1 gbif.org/species/2928449
☞ 애기메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9429 https://kheenn.tistory.com/15856415 https://kheenn.tistory.com/15862741 https://kheenn.tistory.com/15862559 https://kheenn.tistory.com/15863298
☞ 갯메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8768
☞ 메꽃과 검색표 => https://kheenn.tistory.com/15859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