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의 풀꽃나무

<연변 용정>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모산재 2025. 7. 7. 19:05

 

일송정에서 만난 시베리아살구, 열매가 조랑조랑 달려있다. 다소 좁아 보이는 잎과 고르게 발달한 잔 톱니, 납작해 보이는 열매 정도에서 특징이 나타난다. 시베리아살구는 나무껍질에 코르크층이 발달한 개살구와 달리 나무껍질에 코르크층이 발달하지 않는다. 개살구나무에 비해 잎이 보다 좁고 잎 가장자리 잔 톱니가 비교적 규칙적이며, 열매가 약간 납작한 편구형이고 핵의 한쪽 가장자리에 날개가 뚜렷하게 발달한다.

 

우리나라 충북 이북 석회암지대와 북부지방에서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몽골, 시베리아와 연해주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2.  용정 일송정

 

 

 

 

 

 

●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 Siberian apricot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교목 


석회암지대에서 높이는 5~10cm까지 자라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이다. 가지에는 털이 없고 나무껍질에 코르크층이 발달하지 않는다. 잎은 어긋나며 난상 원형으로 길이는 6~8cm로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짧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3cm로서 붉은빛이 돈다. 턱잎은 일찍 진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며 1~3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이고 난형 또는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아래로 젖혀진다. 열매는 지름 3cm 정도의 핵과로 7월에 적황색으로 익으며 과육은 맛이 매우 떫다. 핵은 길이 1.5~2.5cm, 가장자리에 날개가 뚜렷하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2013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시베리아살구의 종자 오일은 바이오디젤의 공급원으로 연구되었으며, 개살구의 종자 오일 함량은 상당히 더 높으며 바이오디젤의 공급원으로서도 잠재력이 있다고 한다. (출처 : sciencedirect.com/S0926669013004895)  

 

 

※ 참고 자료 : https://en.wikipedia.org/wiki/Prunus_sibirica https://www.inaturalist.org/taxa/858118-Prunus-sibirica/browse_photos https://www.gbif.org/species/3021111

 

 

• 살구나무(P. armeniaca) : 나무껍질이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홑 톱니가 있다. 

• 개살구(P. mandshurica) : 나무껍질에 코르크질이 발달하고 잎 가장자리는 겹톱니가 있으며 열매에 털이 없다.

 

 

☞ 벚나무속 종 검색표  => https://kheenn.tistory.com/15859210